학습부진학생의 이력관리카드 양식이 통일돼 초.중교에서 공동 관리된다.
서울시교육청은 학습부진학생을 찾고자 초등학교 3,4,5학년을 대상으로 매년 3월 기초학력 진단평가를 치러 왔지만, 앞으로는 진단평가를 치르지 않는 1,2,6학년도 담임 재량으로 학습부진학생을 선정해 관리키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선행학습 등으로 초등학교 1학년부터 학업성취도 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현실에서 학습부진학생을 조기에 찾아 개인별 맞춤교육을 통해 구제하려는 조치다.
학습부진학생 이력관리카드도 양식을 통일하고 초ㆍ중학교에서 공통으로 활용키로 했다.
새 이력관리카드에는 학생의 인적사항과 가정환경, 지능지수, 질병 등 학습부진의 원인, 과목별 진단평가 및 분기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등이 담긴다.
1월부터 12월까지 매달 해당 학생에 대해 담임책임지도와 대학생보조교사, 진로공부캠프, 방과후 부진학생 지도 프로그램 등 맞춤형 지도를 하고 어떤 성과를 올렸는지도 적게 했다.
연말에는 해당 학생의 학업부진 구제 여부를 최종 판단해 이듬해 담임이나 상급학교에 전달해 관리케 했다.
오효숙 서울교육청 초등교육정책과장은 "교과 수준이 학년별로 매해 달라 전년도에 구제돼도 이듬해 또 학업이 부진해지는 사례가 많아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학습부진학생의 이력을 꾸준히 추적해 밀착 관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