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성호 우리투자증권 사장은 28일 ‘100세시대 금융투자업의 역할’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이 같이 금융자산을 통한 무한 수익 창출 가능성에 주목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황 사장은 “한국은 오는 2017년 전후로 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라면서 “이에 대비해 최근 은퇴 후 노후 생활 준비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지만 효율적인 자산관리는 이뤄지고 있지 않고 있는 상황”라고 아쉬워했다.
또 황 사장은 “현재 국내 가계 자산 비중 70% 이상이 부동산에 집중됐지만 주택 가격 하락으로 더 이상 부동산은 부의 축적수단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예금과 적금의 이자소득은 2000년대 초반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고 국가와 기업, 개인의 연금은 노후 생활 대안이 되기 역부족이다”라고 진단했다.
국내 금융투자업 성장이 자산관리 대안이 될 수 있지만 일본 금융산업을 예로 들며 현재 국내 금융투자업은 충분한 기반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황 사장은 “일본 주식형 상품 시장에서 일본 기업 주식에 투자하는 비중은 5%에 불과하다”며 “일본의 기초자산 비중은 이어 리스, 인덱스 펀드로 구분됐고 주식시장 상품 대부분도 월분배형 월지급형으로 재편됐다”고 말했다.
이어 황 사장은 “이는 시사하는 바가 큰 데 앞으로 운용사들이 일본을 따라가게 된다면 국내 주식형만 맡은 운용사는 5%밖에 되지 않는다는 예측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국내 금융산업은 저성장· 저금리 기조 아래 지난 1990년대 일본의 저성장 국면을 뒤따라갈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국내 금융투자업 역시 일본과 같이 저성장 환경에 맞춰 대응한 방식을 교훈으로 삼아야한다는 얘기다.
또 금융당국이 펼친 일부 금융정책은 규제 강화에 치우쳐 있어 금융사의 성장을 제한하고 있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그는 “투자자 보호는 중요한 문제지만 규제 중심의 방법은 옳지 않다”며 “일례로 지난해 규제 정책으로 주식워런트증권(ELW) 시장이 침체된 결과 주가연계증권(ELS) 헤지수단으로서 기능을 잃었다”고 우려했다.
황 사장은 “일반 상업은행과 금융투자 위험을 철저히 분석해 획일적인 위험 관리를 지양해야한다”며 “정부는 법과 규정 개정 시 시장의 자율과 책임 원칙을 우선으로 삼고 투자자 보호에서도 규제에 치우치지 않는 균형 잡힌 정책 구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