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1/06/20131106104749451932.jpg)
[중국=신화사]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 내년부터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자동차 구매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최근 심각한 스모그 등으로 대기오염 문제가 불거진 베이징시 당국이 전날 ' 2013~2017 베이징 자동차 오염물질 배출억제사업방안'을 발표하고 내년 추첨가능한 번호판 수를 15만개로 줄였다고 징화스바오(京華時報)가 6일 보도했다.
베이징은 차량증가 억제를 위해 지난 2011년부터 쿼터를 제한, 번호판 추첨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현재 매년 추첨배분되는 번호판 수는 24만개다.
시 당국은 2014년 번호판 수를 15만개로 줄이고 2016년에는 그 수를 9만개까지 줄여 2017년 말 베이징시 자동차 수가 600만대를 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베이징의 자동차 수는 530여만대로 올해 말에도 544만대를 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지난 10월 8일까지 번호판 신청대기인원은 무려 166만2527명으로 내년에 번호판 추첨쿼터가 다시 감소하면 자동차 구매 경쟁률이 130대 1에 육박, 그야말로 '하늘의 별따기'가 될 전망이다.
이에 시정부는 일반 자동차 구매를 제한하는 대신 친환경 자동차 번호판 배정 쿼터는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신에너지 차량에 배정되는 번호판 수는 2만개인데 2017년까지 이를 6만개로 늘리겠다는 것. 당국은 쿼터확대 등 신에너지 차량에 대한 지원으로 오는 2017년까지 신에너지 차량 수를 19만5000대까지 끌어올리고 시내버스 중 전기차와 천연가스차량 비중도 65%선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15년 상황에 따라 혼잡통행료와 오염배출비 징수, 차등식 유가제도 등을 도입해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선택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한편, 베이징 당국이 자동차 구매제한을 강화하면서 이에 대한 누리꾼들의 반응도 뜨겁다.
닉네임 'Shine4Sth'는 "정책이 너무 인간적이지 못하다"면서 "가구단위로 추첨의 기회를 주는 등 방법을 통해 수요를 충족시켜야 한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닉네임 '양지칭(楊吉慶)'은 "부동산 구매제한, 자동차 구매제한 등 정책은 서민층의 기본적인 수요를 억누르는 부작용이 있다"면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다른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낫다"고 지적했다.
한편 '11012084차오샤오천(曹曉晨)'은 "최근 베이징의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볼때 이번 결정은 피할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지지의사를 보임과 동시에 "자동차 구매제한책과 함께 나무를 심고 신에너지를 발전시키는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