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임한 권진봉 전 한국감정원의 재산은 국토교통부와 산하 공기업 중 가장 많았고, 정병윤 국토부 국토도시시실장은 중앙부처 공직자 중 재산 증가액 순위 상위권에 올랐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8일 공개한 공직자 재산등록 현황을 보면 서승환 국토부 장관은 전년 대비 3억7400여만원 줄어든 10억2300여만원을 재산으로 신고했다.
재산이 줄어든 이유는 상속받은 서울 광진구의 워커힐아파트 지분(45.29㎡)이 법원 판결을 통해 정리돼 2억3840만원 줄어든 영향이 크다. 신한은행에 지고 있던 채무 6400여만원도 법원 판결을 통해 모두 없어졌다.
여형구 국토부 2차관은 10억9700여만원을 신고했다. 자녀 학자금 납부 등으로 지난해보다 약 1억1400만원 줄어든 수준이다.
정병윤 실장은 25억500여만원으로 1년새 7억8700여만원 증가한 것으로 신고됐다. 중앙부처 공직자 가운데 여섯째로 재산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이는 부모나 자녀의 재산 신고를 거부할 수 있도록 한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그동안 신고하지 않았던 부친의 재산을 신고했기 때문이다.
정 실장이 신고한 부친의 재산은 서울 송파구 삼전동의 다가구주택(11억1600만원), 전남 강진군의 논 5필지(4600여만원)와 단독주택(865만원) 등이다.
또 정 실장이 청와대 비서관 재직 당시 백지신탁 제도로 갖고 있던 주식을 처분하면서 빚을 갚은 나머지가 배우자 예금으로 들어가 배우자 예금이 5500여만원에서 2억8600여만원으로 늘었다.
공공기관 사장의 재산을 보면 이재영 LH 사장은 1억3500여만원 증가한 15억3500여만원을 신고했다. 재산 증가에는 배우자가 경기도 안양시 아파트와 서울 강남구 역삼동 오피스텔을 상속한 부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권진봉 전 감정원장은 28억6800여만원을 신고했다. 작년보다 1억2600만원 줄었지만 국토부 공무원과 산하 공기업 기관장 중 최고 수준이다.
최연혜 코레일 사장 재산은 전년 21억7000만원보다 1억1200여만원 늘어난 22억8423만원으로 나타났다.
김석기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지난해 재산이 10억원이 넘었지만 1억4600여만원 감소한 8억896만원을 신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