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쌀 시장을 개방할 때 얼마의 관세율을 적용할 지가 시장에서 비상한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쌀 개방이 이뤄질 경우 관세율은 평균 400%대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중국이나 일본 등 일찌감치 개방한 국가들의 평균 관세율을 적용한 수치다.
쌀 산업 보호를 위해서는 최대한 관세율을 높게 매기는 것이 좋지만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 검증과정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무작정 높게 책정할 수도 없다.
대다수 전문가들이 400%대 관세율을 예상하는 것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조사한 쌀 상·중·하품 가격 평균값과 국제가격으로 중국 쌀 수입가격을 적용하면 나온다.
국내가격을 산정할 때 품질에 따른 가격 차이를 적절히 반영하고 국제가격 산출시에는 당시 우리나라가 쌀 수입을 금지했던 만큼 중국 자료를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예측치 중 가장 높은 관세율 510%는 쌀 상(上)품 가격을 국내가격으로 사용한 경우다. 다만 이는 국내가격 자료 대표성 문제 때문에 WTO 검증을 통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국제가격으로 중국 대신 일본 수입가격을 쓰면 관세율은 350%대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밖에 미국이 요구하는 관세율 200%는 국내가격으로 쌀 하(下)품 자료를 쓴다. 국제가격은 당시 우리나라가 연구용 등으로 소량 수입했던 비싼 태국 쌀 가격을 사용해 도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 유력하게 보고 있는 관세율 395%는 과거 조기관세화 논의시 일본 수입가격을 이용해 도출했던 것이다.
송주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역시 “정부가 관세율을 높게 설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만큼 400% 이상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