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무원노조원들이 22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공무원연금 개혁 정책토론회에서 "연금개혁 해체', "새누리당 해체' 등의 구호를 외치고 있다.[김세구 기자 k39@aju]
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공무원 연금을 지키기 위한 공무원 노조단체의 투쟁이 본격화 한다.
공무원연금 투쟁 기구인 '공적연금 개악 저지를 위한 공동투쟁본부'(공투본)는 오는 11월 1일 '공적연금 개악 저지를 위한 100만 공무원 총궐기대회'를 열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이번 총궐기대회에는 전·현직 공무원뿐만 아니라 그 가족까지 참가한다.
앞서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은 공무원연금 개혁 시안이 공개된 이래 첫 대규모 거리 집회를 지난 27일 서울역 광장에서 개최했다.
갑작스럽게 기획된 집회였음에도 이날 입회엔 주최측 추산 1만여명(경찰 추산 6000여명)이 참가했다.
조진호 위원장 등 집행부 20명은 국민연금 '개악'을 저지하지 못한 데 대한 참회의 의미로 삭발을 했고, 집회 참가자들은 숭례문을 거쳐 청계천 한빛광장까지 행진했다.
공노총은 집회에서 "국민연금에 '소득대체율(전생애 소득 대비 연금 수령액의 비율) 70%'를 보장하기로 한 도입 취지대로 공적연금을 복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노총은 정시 퇴근 등 준법투쟁도 검토하고 있다.
법외 노조인 전국공무원노조(전공노)는 총궐기대회를 준비하며 본부단위 결의대회를 열고, 새누리당사 앞 1인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전공노는 다음 달 24일까지 공무원연금 대상자의 총궐기대회 참여를 독려하는 한편 조합원 1인당 10만원씩 투쟁기금 모금운동도 벌일 방침이다.
공무원 단체들은 '공무원연금 개악 반대'만을 외치기보다는 공적연금 복원을 투쟁의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는 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의 형평을 맞추려는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2008년 국민연금 개혁 때 재정 고갈시기를 2048년에서 2070년으로 늦춰야 한다며 수령액 50%를 삭감했다.
40년 후 재정 고갈이 예상되는 국민연금을 삭감하고도 이미 매년 수조원씩 적자가 나는 공무원연금을 방치해서는 안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