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대연 샘표식품 고객지원실장은 '스마트 소비자 시대에 걸맞은 식품 소비자 문제 바라보기'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지난해 발생한 사고의 발생 빈도를 살펴보면 급발진 사고는 100만대 기준으로 20건, 식품 클레임은 100만개 중 3건 발생했다"며 "무결점 생산을 100만개 중 3~4개로 여기는 점을 감안할 때 식품 회사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무결점 생산과 다름 없다"고 설명했다.
조 실장은 "자동차 회사의 경우 피해가 발생하더라도 피해보상 절차 자체가 복잡하고, 운전자가 무과실을 입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며 "반면 식품 회사는 대부분 즉시 해결이 가능하고, 제조사가 원인 규명에 적극적으로 나선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이렇게 먹거리에 대해서만 엄격한 이유는 무엇일까. 바이러스나 세균, 기생충 같은 전염성 병원체에 감염되는 것을 막게끔 진화된 적응 과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어 식품 문제를 제대로 꿰뚫어 보는 '스마트 컨슈머'가 되기 위해 올바른 정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식품에 대한 불량 지식에 대한 관심을 줄이고, 식품 클레임이 발생하면 소비자기본법에 정해진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을 준수해야 한다"며 "기업과 관계 당국에 대한 막연한 불신보다는 정확한 정보 획득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한 "업체의 경우에는 기업 간 노이즈 마케팅·비방·과장 광고를 중단하고, 고객 불만이 발생하면 고객에게 투명하게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며 "식품 제조사뿐 아니라 유통, 판매 등 전단계의 기업들이 품질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적극적 활동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