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컨대 차량 공유업체 '우버'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운수업계와 합의가, 전기를 사고파는 '프로슈머(생산자와 소비자)'가 대중화 되기 위해서는 한국전력의 지원과 협력이 필요하다.
강한균 인제대학교 글로벌경제통상학부 교수는 "공유경제 도입 초기인 우리나라는 기존 업자들과의 이해관계 충돌이 만만치 않다"며 "2013년 7월 한국에 등장한 우버는 기존 택시업계와, 에어비앤비는 기존 숙박업계와 마찰을 빚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 교수는 "우리나라도 2%대의 저성장시대에 접어들었다"며 "앞으로는 경제주체간 힘의 게임이 아니라, 소비자 편익을 우선시하는 사회적 합의 및 공감을 통해 공유경제의 갈등을 해소함으로써 공생의 경제를 펼쳐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부가 제시한 공유경제 관련 정책에 아쉬움을 표했다. 민간이 아닌 정부 주도로 신산업 창출에 나서는 모습이어서 창의성의 바탕이되는 창조경제에 이르는 길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공유경제와 관련한 정책은 기존에 제기된 문제점과 민원을 해소하는 수준"이라며 "숙박·차량 공유를 통해 창업 붐이 일어나고 새로운 부가가치가 창출되려면 획기적인 영업환경이 조성될 정도로 규제가 개선돼야 한다"고 꼬집었다.
김재영 고려대 교수는 "공유경제는 이해 관계자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게 우선인데, 정부 주도로 정책을 발표하니까 업계 반발이 심한 것"이라며 "차량공유서비스의 경우, 운송업체 종사자들의 실업률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이들의 생존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국가차원에서 배려하는 모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공유경제를 새로운 가치창출의 개념으로 봐야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강한균 교수는 "자동차의 대량생산이 한 나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내총생산(GDP) 경제지표는 끌어 올릴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 소비를 통한 자원낭비, 주차공간 확대의 필요성,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 등의 비난을 피할 순 없다"며 "우버 등 차량공유 서비스가 신차 생산보다 합리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영 교수는 "최근 한 일본인이 택시를 타고 부산역에서 해운대에 있는 한 호텔까지 갔는데 4만원의 요금을 냈다고 SNS에 올려 국가적인 망신을 샀다"며 "차량공유서비스가 이런 폐단을 막아 국내외 관광객이 저렴하고 투명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일본에서 살아봐'라는 에어비엔비 광고처럼 공유서비스는 문화를 소개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며 "외국 관광객이 한옥집에서 한식백반으로 아침밥을 먹는 등 한국의 콘텐츠를 판다는 개념으로 공유경제 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