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지연 기자 = “미국은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을 것이다. 미국이 제시한 'G2’는 중국과 미국 간의 대치보다는 양국 간의 협력의 의미를 더 많이 내포하고 있다.”
볜융쭈(卞永祖) 인민대학교 중양금융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아주경제가 21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개최한 ‘제10회 아태금융포럼’에 참석해 ‘G2 환율전쟁과 중국 경제의 앞날’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트럼프 정부가 제시한 중국의 ‘환율조작국’이라는 죄명은 하나의 협상 카드일 수 있다”며 “과거에도 트럼프는 일본이 환율을 낮춘다고 지적했지만 아베의 미국 방문 후 일본의 화폐평가 절하가 악의적인 행위가 아닌 일본의 장기간의 통화긴축을 해결하려는 목적임을 인정했고, 중국의 환율문제도 이와 유사한 패턴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최근 시진핑 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를 들었다. 그는 "트럼프가 올 초까지 북경이 환율과 무역문제 관련해 양보를 하지 않는 경우 미국은 '하나의 중국' 정책을 유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지만 최근 시진핑 주석과의 통화에서 입장을 바꿨다"고 말했다.
볜 연구원은 “중국 정부는 인민폐의 국제적인 지위향상을 위해 안정적인 환율, 예측 가능한 위안화 정책을 유지하고자 한다”며 “환율이 하락하고 화폐 가치가 불안정한 인민폐는 중국이 원하는 모습이 절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해 인민폐와 달러 기준 매매율은 6.6%로 다수 화폐가 달러대비 평가 절하된 환경에서 인민폐의 평가 절하 폭은 큰 편이 아니다”라며 “인민폐 평가 절하가 추가로 발생하더라도 이는 시장의 요소에 따른 변동으로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중국 경제성장률 둔화로 일각에선 위안화의 평가절하를 통해 수출을 독려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에 대해 "중국 경제 성장구조를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며 “중국의 경제구조는 수출 중심에서 소비 중심으로 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의 해외수출 규모는 최근 2년간 줄어드는 반면 소비의 경제성장 기여율은 지난해 64.6%(중국 내부)이며, 세계 기여율은 30%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능성을 종합하면 중-미 간 화폐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미국과 중국은 세계 1,2위 경제 규모의 국가이며, 전 세계 총 경제규모의 3분의 1에 달한다"며 "이렇게 큰 두 나라가 환율전쟁, 무역전쟁을 벌인다는 것은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강 달러 정책을 포기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금융 위기 후 미국은 세 차례의 양적완화 정책을 통해 달러를 일정 수준 평가절하했다”며 “미화 가치가 하락되는 경우 국제 화폐 구도에 큰 변화가 따를 것”이라며 설명했다.
이어 “강세를 잃은 미화는 더 이상 매입과 보유의 의미가 없고 미국 국채와 자산도 더 이상 환영받지 못할 것”이라며 “미화를 국제 비축 화폐로 사용하던 나라들도 새로운 선택에 직면하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황금이나 인민폐 수요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환율 문제보다는 무역협정 재협상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볜 연구원은 “트럼프의 궁극적 목표는 중국의 제조업을 미국으로 다시 회수해 미국인들의 제조업 취업 기회를 늘리는 것”이라며 “중국의 대미국 수출액은 총 수출총액의 20%에 근접하는데 향후 미국이 ‘메이드 인 차이나’에 대한 수요를 줄이면 중국은 무역 구조변경에 따른 변화에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