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총리에 김상곤 지명!수능 절대평가ㆍ학종 확대 강행?“대입 복잡해지고 공정성 파괴”우려 고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6-12 00: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저작권자 ⓒ 1980-2017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문재인 대통령이 교육부총리에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을 지명해 앞으로 인사청문회에서는 수능 절대평가 등이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아주경제 이광효 기자=문재인 대통령이 11일 교육부총리에 김상곤(68,사진) 전 경기교육감을 지명한 것을 계기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절대평가가 강행돼 앞으로 대입 전형이 더욱 복잡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대입 전형 단순화와 수시 축소를 주요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정부 하에선 수시가 축소되고 정시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돼기도 했지만 진보 진영의 반발이 이어지면서 문재인 정부는 대입에서 수시 축소보다는 수능 비중을 약화시키는 데에 더욱 힘을 기울이고 있다.

교육부총리에 지명되기 전 김상곤 후보자는 지금까지 공식적으로 수능 절대평가와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 확대 등을 주장해왔다.

이에 따라 교육부총리에 김상곤 후보자가 취임하면 수능 절대평가나 학종 확대 등을 강행할 가능성이 높다. 교육부는 다음 달 수능 개편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수능 절대평가와 학종 확대 등이 강행되면 대입 전형 간소화는 어려워지고 대입은 지금보다 더욱 복잡하고 불투명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 있을 김상곤 인사청문회에서도 수능 절대평가와 학종 확대 등이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안선회 중부대 진로진학컨설팅학과 교수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수능 절대평가로는 학생들의 입시부담을 줄일 수도 없고 오히려 내신 사교육비를 증가시킬 것이다"라며 "수능이 절대평가로 바뀌면 변별력이 없어져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이 전면화되고 공정성은 파괴되며 교육 불평등은 더 커질 것이다. 여러 설문조사에서도 학생부종합전형이 사교육을 가장 많이 유발하고 전형 기준을 알 수 없는 깜깜이전형이며 공정하지 않고 상류층에 유리한 금수저 전형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