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위기 대응능력을 높이고 전략적 핵심 국가와 협력을 강화해야 전환기적 상황에 직면한 국제금융체제를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윤태식 기획재정부 개발금융국장은 14일 ‘2018 아시아·태평양금융포럼’ 기조강연에서 “최근 국제금융 체제는 전환기적 상황이고, 여러 리스크가 있다”며 “우리 정부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위기가 될 수 있고, 반대로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최근 국제금융 체제는 기존 선진국의 리더십이 약화된 가운데, 신흥국이 부상하는 상황이다.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유로존 재정위기와 브렉시트,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를 거치면서 ‘선진국 중심-정치논리’에 기반한 기존 체제가 경제적 이해관계로 변화했기 때문이다.
신흥국 중에는 실물‧국제금융시장 내 영향력이 증대된 중국이 주목된다. 1990년 세계 GDP의 1.7%에 불과하던 중국경제는 지난해 비중이 15%까지 확대됐다. 세계경제 성장 기여도도 같은 기간 2.8%에서 31.6%로 높아졌다.
중국 위안화는 국제통화기금 특별인출권(IMF SDR) 통화 바스켓에 편입돼 달러와 유로화 다음으로 가중치가 높다. 또 미국 국채 최다 보유국(외국인 보유 중 18.7%)이다.
국제금융 체제가 격변기를 겪으면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도 높아졌다. 주요국 재정‧통화정책 공조가 더욱 어려워졌고, 무역갈등과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가 그 원인으로 꼽힌다.
이러한 위기와 변화의 시기에 한국이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함께 협력 다변화를 통해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넓혀가야 한다는 게 윤 국장의 설명이다.
윤 국장은 “국제금융 체제가 변동기를 겪고 있다”며 “한국이 선제적인 위험요인 관리를 통한 위기 대응능력 제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전략적 핵심 국가 협력과 다양한 국가와의 협력을 다변화해야 한다”며 “비교우위 기반 개별협력 확대와 개별협력에서 민·관협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