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불거진 박봄의 마약 사건, 이번에는 재수사 혹은 명확한 해명이 나올 수 있을까?
박봄의 마약 밀수입 반입 사건이 또 다시 논란의 중심에 섰다.
24일 방송된 MBC 'PD수첩'에서는 '검찰 개혁 2부작'의 두 번째 방송인 '검사 위의 검사 정치 검사'를 방송을 통해 가수 박봄, 김학의 전 법무부차관, 김수창 제주지검장 사건을 언급했다.
지난 2010년 박봄이 밀반입하려했던 반암페타민은 각성제 중 하나로 피로와 식욕을 낮추는 약물로 우리나라에서는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돼 허가를 받지 않고 복용할 경우 불법이되는 약물이다. 당시 박봄은 국제우편을 통해 암페타민이 함유된 아데랄 82정을 인천에 거주하는 외할머니의 앞으로 보냈으며, 인천공항세관이 이를 적발하며 검찰에 사실을 통보해 수사가 진행된 바 있다.
박봄은 암페타민을 국제 항공 특송업체인 페덱스 항공기를 통해 국내로 운송했고, 편지봉투 절반 크기의 소포 상자에 젤리 형태의 사탕과 함께 담겨 있었다. 박스 겉면에도 '젤리류'라고 적혀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박봄의 외할머니가 수령해 박봄의 어머니에게 전달됐으며 최종적으로 박봄의 숙소로 향했다는 것이 경찰의 수사 결과이다. 이에 대해 박봄의 외할머니는 "젤리 형태의 과자다. 딸이 다이어트용이라고 했다"라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박봄은 우울증 치료가 목적이었다고 주장했으며 기소가 되지 않고 입건유예가 됐다.
이에 대해 24일 방송된 MBC 'PD수첩'에서는 배승희 변호사가 인터뷰에 응해 "(박봄이) 대리처방을 받았고, 젤리로 보이기 위해 통관 절차를 했다는 점을 보면 치료 목적이었다는 부분은 일반적인 사건에서는 납득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고 말했다.
또 비슷한 시기에 치료를 목적으로 암페타민 29정을 반입했던 삼성전자 직원은 구속 기소된 사실을 전하며 박봄 사건과 비교하기도 했다.
조수연 변호사(전 마약담당 검사)는 "박봄 사건은 정말 이례적"이라며 "그런 케이스는 없다. 반드시 입건해서 정말 피치 못할 사정이 있으면 그래도 공판을 해서 최소한 집행유예 정도는 받게끔 하는 것이 정상적인 처리 사건"이라고 의견을 전했다.
'PD수첩' 방영 후 박봄 마약사건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며 '봐주기식 수사'가 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휩싸였다. 많은 누리꾼이 같은 의혹의 시선을 보냈다.
반면 일부 누리꾼은 박봄이 들여온 것은 암페타민이 아니라 암페타민이 함유된 아데랄이기에 삼성전자 직원과는 다른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당시 검찰 발표에서 박봄이 7일동안 3~4정 먹었다는 것이 증명됐다며 박봄이 마약 중독자가 아니라고 덧붙였다. 할머니댁으로 보낸 것은 박봄이 해외스케줄로 거취가 분명하지 않아 항상 받을 수 있는 할머니댁으로 보내게 된 것이라는 해명도 전하며 "이슈가 터졌을 때는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을 하다가 정작 해명문은 자세히 보지 않는다"며 비난을 하기도 했다.
당시 사건을 담당했던 김수창 인천지검장은 박봄의 암페타민 밀수입이 우울증 치료를 위했다는 내용에 기반을 둬 입건유예 처분을 내렸다.
이에 일각에선 박봄의 처분을 두고 "봐주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후 박봄의 전 소속사 대표 양현석은 SBS '힐링캠프'에 출연해 "일단 먼저 창피하다"며 "솔직히 안 일어나도 될 일들이 자의적 타의적으로 일어났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관리를 조금 더 철저하게 했어야 하는데 다시 한 번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며 "한 번의 실수와 잘못은 포용해주려 한다. 그러나 두 번 반복하는 건 습관이기 때문에 더 조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박봄의 '봐주기' 의혹에 대해 "내가 얼마 전 경찰서에서 취조를 받았는데 만약 로비를 했다면 경찰서에 가지 않았을 것"이라고 해명해 화제가 됐다.
박봄 역시 지난해 8월 직접 SNS 생방송으로 "진짜 (마약) 안 했다"고 해명한 바 있다.
한편 이날 ‘PD수첩’은 이날 ‘PD수첩’에서는 박봄 사건 뿐 아니라 다스의 실소유주 수사 관련 의혹 그리고 김학의 전 차관 성접대 동영상 사건, 이진한 차장검사 여기자 성추행사건 등 숱한 검찰의 제 식구 감싸기 논란 또한 정치검사와 부패검사들의 산물로 보고 검찰 개혁의 방향을 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