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개인간(P2P) 금융이 중금리대출 시장의 한 축으로 자리하고 있다. 공적자금 투입 없이 서민금융을 실현할 수 있다."
김성준 렛딧 대표이사는 4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2회 서민금융포럼에서 "P2P금융이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모델이므로 잡음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적절한 규제와 제도적 허용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P2P 금융사들은 최근 중금리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렌딧도 그 중 하나다. 현재 국내에서는 성인 인구의 40%에 달하는 1800만명이 중금리대출을 받을 수 있는 구간에 놓여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신용등급 4~6등급의 중신용자들은 중금리대출을 받지 못하고 20%대의 고금리대출을 받아야만 했다. 렌딧이 중금리시장에 주목한 이유다.
김 대표는 "저금리와 고금리 사이에 굉장히 큰 금리단층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했다"며 "사업을 확장하면서 여러 빅데이터에 기반해 중금리 고객에 대한 포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가시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 2015년 5월 8일 첫 대출을 집행한 후 올해 8월 13일까지 39개월간 렌딧 대출자들은 100억2000만원의 이자를 절감했다. 대환 전에 제공 받았던 평균금리는 20%였지만 렌딧에서 대환대출한 결과 평균 금리는 11.3%로 평균 8.7%포인트 낮아졌다.
이처럼 렌딧이 금리를 낮출 수 있었던 이유는 심사평가모델을 개선했기 때문이다. 대출심사를 위해 머신러닝 기반의 자체 개인신용평가시스템을 개발했다. 신용평가회사에서 제공하는 250여가지 금융정보를 받아서 자동 알고리즘을 통해 렌딧만의 자체 신용등급을 도출했다.
가장 큰 차별점은 최근 12개월의 각종 금융정보 트렌드를 분석한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A와 B의 신용등급이 4등급으로 동일하다고 해도 렌딧에서는 'LD 4등급'과 'LD 11등급'으로 달라진다. 좀 더 나은 금리를 제공받을 수 있는 여지가 생기는 셈이다.
미국·영국·중국 등 해외에선 중금리시장에서 P2P금융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에선 전체 신용대출잔액 900조원 가운데 4.5%를 P2P시장이 차지하고 있다. 1위 업체는 10조원 이상을 취급하고 있다.
김 대표는 "전 세계적으로 P2P금융이 대환대출의 주축이 되고 있다"며 "해외에서는 금융시장의 한 축으로서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은 가운데 유동화 시장의 한 축이 되거나, 다른 금융사들과 견줘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P2P금융은 사잇돌대출과 같은 공적자금이 전혀 투입되지 않고도 민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서민금융의 혁신"이라며 "실제 미국의 1등 P2P 업체인 렌딩클럽은 캐나다 연기금이 대체투자자로 참여해 미국인들에게 대출을 해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P2P금융에 대한 규제 개혁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우리나라에서 한 업체가 1조원 이상의 대출을 취급한다고 가정해도 신용대출 잔액의 0.3%, 가계부채 잔액의 1만분의 1밖에 안된다"고 말했다.
이어 "민간에서 기술혁신을 통해 서민금융을 혁신한 케이스가 있으므로 국내에서 P2P금융 본질에 부합하지 않으면 그에 맞는 규제를, 반대로 본질에 맞는 부분에 대해선 획기적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산업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