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5년 고용표 작성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3년간 산출작업을 거쳐 지난 3월 발표한 '2015년 산업연관표'를 토대로 작성한 자료다.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 총 취업자(임금근로자+자영업자+무급가족종사자) 수는 2383만명으로 2010년(2142만명) 대비 11.2%(241만명) 증가했다. 2000년(1873만명)과 비교하면 27.2%(510만명) 늘어난 수치다.
특히 서비스업 취업자 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서비스업 취업자 수는 2000년 1098만명에서 2015년 1680만명으로 15년간 53.0%(582만명) 급증했다. 전체 취업자 가운데 서비스업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58.6%에서 70.5%로 크게 올랐다.
취업자 수가 크게 증가한 서비스업 취업계수 역시 2000년 20.5명에서 2015년 9.8명으로 절반 이상 하락했다.
취업자 수가 늘었는데도 취업계수가 하락한 건 분모에 해당하는 산출액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산출액은 GDP에 중간투입액을 합한 금액으로, 2000년 1393조원에서 2015년 3834조원으로 175.2%(2441조원) 급증했다.
이에 따라 특정 상품에 대한 수요가 10억원이 발생할 때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자 수를 뜻하는 취업유발계수도 큰 폭으로 떨어졌다. 2000년 25.7명이던 전체 취업유발계수는 2015년 11.8명으로 15년 새 54.1% 급감했다.
한은 관계자는 "취업계수와 취업유발계수는 전체 품목(업종)에서 떨어지는 추세"라면서도 "이는 생산성과 고용의 질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체 취업자 가운데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39.8%에서 2015년 40.3%로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근로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인 상용직에 종사하는 여성 비중은 2000년 26.3%에서 2015년 36.8%로 10.5% 포인트 올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