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5명가량이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비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 출범 직후 투기지역 등 2중·3중 규제에 묶인 '서울 지역 시민들'의 불만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집값 상승'과 '전·월세 임대료' 전망은 엇갈렸다. 향후 1년간 집값이 오를 것으로 보는 응답자는 '크게 줄어든' 반면, 전·월세 임대료 '상승'을 예상한 이들은 많았다.
14일 여론조사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한 부동산 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6%는 '현 정부가 부동산 정책 잘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잘하고 있다'는 26%에 그쳤다. 28%는 평가를 '유보'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시민의 55%가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비토했다. 경기·인천 시민의 43%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연령대로는 50·60대 이상(51%), 지지정당별로는 자유한국당(72%)과 바른미래당(66%) 지지층, 직업별로는 자영업자(53%) 등에서 불만이 많았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부정 평가하는 이유로는 '집값 상승·집값이 비쌈'(17%), '공급이 너무 많음·신도시 개발'(8%) 등이 꼽혔다.
'한국갤럽'은 이와 관련해 "'공급 과다·신도시 개발' 언급이 늘었고, 집값 등락과 대출 규제에 대한 상반된 지적이 혼재해 있다"고 분석했다.
긍정 평가 이유에는 '집값 안정 하락 기대'(42%), '다주택자 세금 인상'(7%) 등이 포함됐다.
향후 1년간 집값의 흐름을 전망해 달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27%만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32%는 '하락', 30%는 '변함없을 것'으로 봤다.
집값 상승 전망은 '지난해 9·13 대책 직전 50%→10월 43%→올해 1월 28%→3월 20%→6월 27%' 등의 추세를 보였다.
전·월세 등 주택 임대료 전망은 '오를 것' 35%, '내릴 것' 24%, '변화 없을 것' 31% 등으로 각각 집계됐다.
주택 임대료 상승 전망은 20대(56%)와 학생층(59%), 무주택자(43%), 서울 거주자(43%)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청년 주거 취약계층의 현실적 우려가 드러난 결과로 보인다고 '한국갤럽'은 전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임의전화걸기(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5%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갤럽'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집값 상승'과 '전·월세 임대료' 전망은 엇갈렸다. 향후 1년간 집값이 오를 것으로 보는 응답자는 '크게 줄어든' 반면, 전·월세 임대료 '상승'을 예상한 이들은 많았다.
14일 여론조사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한 부동산 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6%는 '현 정부가 부동산 정책 잘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잘하고 있다'는 26%에 그쳤다. 28%는 평가를 '유보'했다.
연령대로는 50·60대 이상(51%), 지지정당별로는 자유한국당(72%)과 바른미래당(66%) 지지층, 직업별로는 자영업자(53%) 등에서 불만이 많았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부정 평가하는 이유로는 '집값 상승·집값이 비쌈'(17%), '공급이 너무 많음·신도시 개발'(8%) 등이 꼽혔다.
'한국갤럽'은 이와 관련해 "'공급 과다·신도시 개발' 언급이 늘었고, 집값 등락과 대출 규제에 대한 상반된 지적이 혼재해 있다"고 분석했다.
긍정 평가 이유에는 '집값 안정 하락 기대'(42%), '다주택자 세금 인상'(7%) 등이 포함됐다.
향후 1년간 집값의 흐름을 전망해 달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27%만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32%는 '하락', 30%는 '변함없을 것'으로 봤다.
집값 상승 전망은 '지난해 9·13 대책 직전 50%→10월 43%→올해 1월 28%→3월 20%→6월 27%' 등의 추세를 보였다.
전·월세 등 주택 임대료 전망은 '오를 것' 35%, '내릴 것' 24%, '변화 없을 것' 31% 등으로 각각 집계됐다.
주택 임대료 상승 전망은 20대(56%)와 학생층(59%), 무주택자(43%), 서울 거주자(43%)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청년 주거 취약계층의 현실적 우려가 드러난 결과로 보인다고 '한국갤럽'은 전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임의전화걸기(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5%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갤럽'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