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30대 그룹 계열사 가운데 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190개 기업의 사외이사 이력을 전수조사한 결과, 올해 1분기 총 656명 가운데 39.3%(258명)가 관료 출신이었다. 이어 △학계 33.4%(219명) △재계 15.5%(102명) △언론계 3.5%(23명) △민간 법조계(변호사) 2.9%(19명) △세무회계 2.3%(15명) △공공기관 1.8%(12명) 순이었다.
관료 출신 중엔 검찰 출신이 16.7%(43명)를 차지했다. 국세청(39명)과 법원(28명), 기재부(23명), 공정위(21명), 금융위(17명), 대통령실·산업통상자원부(각 4.7%·12명) 출신도 적지 않았다.
그룹별로는 영풍의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전체의 64.3%(9명)에 달해 가장 높았다. 두산, 신세계, 현대백화점, GS, 롯데, 현대중공업, 한진, CJ 등도 절반 이상이 관료 출신이었다.
국립대 중에선 경북대와 부산대가 사외이사 겸직 교수가 15명으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전남대(10명), 강원대(9명), 전북대·충북대(6명), 인천대(5명), 경상대·충남대(4명), 제주대(3명)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대를 제외한 국립대들의 전체 전임교원 대비 사외이사 겸직 비율은 0.4∼1.1% 수준이었다.
박 의원은 "대학교수의 기업 사외이사 참여가 본업인 연구와 교육에 지장을 주지는 않는지 확인하기 위해 교수들의 기업 사외이사 겸직 정보를 기업 임원 현황처럼 공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