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보건환경연구원은 올해 도축장에 출하된 가축 741만2383두(소 1만2788두, 돼지 32만6200두, 닭 707만3,395두)에 대해 도축검사를 실시했고, 설 ․ 추석 명절 성수기와 닭고기 소비가 급증하는 하절기에 조기(야간) 작업 및 공휴일에도 근무조를 편성하여 도축검사를 실시하는 등 축산물 공급을 위하여 총력을 기울였다.
또한, 도축장에 도축검사관을 상시 배치해 ▲도축장 위생검사 ▲출하가축에 대한 생체·해체검사 ▲식육 중 유해 잔류물질검사(항생물질, 살충제 등) ▲식육 중 미생물검사(살모넬라, 리스테리아 등) ▲구제역, AI, 돼지열병 등 각종 전염병의 전파 차단방역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한 축산물이 유통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전염병 이환축, 항생제 잔류기준 위반, 품질이상 등으로 소 45두, 돼지 56두, 닭 3만2916수를 폐기하였고, 부분적으로 이상이 있는 식육을 130톤 폐기하여 유해축산물 유통을 근절했다.
아울러, 올해 9월 인천 강화군 등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함에 따라 도축장에 출하되는 돼지에 대한 생체검사를 강화하여 건강한 가축이 도축될 수 있도록 힘쓰고, 차량을 통한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도축장 출입차량 소독 점검 등 고강도 방역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이정구 동물위생시험소장은 “도축은 가축이 식육으로 가공되는 첫 단계로 안전한 식육 유통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정인 만큼 도축장에서의 검사를 강화해 소비자에게 신뢰받는 위생적이고 안전한 축산물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