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연구소의 '중동 주요국의 여성 겅제활동 확대정책과 한국의 협력방안' 정책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저유가로 예전만큼 풍족한 보조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중동 국가들이 여성의 경제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2014년부터 석유와 가스 자원의 가격이 하락하고, 중동 지역의 에너지 수출국들은 재정 위기를 겪게 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보조금을 축소하고 공공 일자리가 감소하는 등 경제 구조에도 변화가 시작됐다.
내국인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율이 1%p 증가할 때마다 1인당 실딜GDP가 0.02% 증가하는 상관관계가 있다.
중동지역은 문화와 종교적 원인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여성의 경제 및 사회 참여 수준이 상당히 낮다. 중동사회에서 명예로 여겨지는 것을 어기면 가족 전부의 명예가 실추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여성이 공적 영역에서 활동하면 남성과의 교류가 불가피해지는데, 이는 명예 보호를 위해 적당하지 않다는 생각이 팽배해 있다.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산유국의 경제구조가 가부장제를 공고하게 만들었다는 '지대국가론'도 원인으로 꼽힌다.
석유 중심의 경제 성장은 교역재 산업을 쇠퇴시켰으며, 이는 노동 수요를 감소시켰다. 막대한 석유 수입을 기반으로 한 복지 혜택은 남성에게 주로 제공됐으며, 이들 국가에서 여성 소외가 만연해졌다.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더라도 결혼이나 출산 후 일터로 돌아가는 일은 아주 어렵다. 중동국가들의 출산휴가 기간은 다른 지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짧고 육아휴직 제도를 도입하지 않은 국가도 있다. 사우디, UAE 등 중동 주요 국가들도 출산휴가 동안의 급여를 고용주가 부담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여성의 경제 활동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꼽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