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人⑥] “잔디, 코로나19 방지책 아닌 생산성 증대 툴이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신보훈 기자
입력 2020-06-23 15:1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김대현 토스랩 대표 인터뷰

 
지금 이 순간, 수많은 스타트업이 세상에 등장했다 사라지고 있습니다. 제2의 배달의민족을 꿈꾸며 열정을 불태우는 젊은 창업가부터, 시장에서 인정받지 못한 채 조용히 퇴장하는 기업까지. 법인이 탄생하고 소멸하는 시간은 그들 ‘인생’의 전부지만, 대부분 시간은 관심조차 받지 못한 채 조용히 흘러갑니다. ‘스타트人’에서는 숫자가 아닌 속살을 들여다보려 합니다. 소리소문없이 창업 최전선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스타트업 사람들, 그들의 이야기를 시작합니다.[편집자 주]

 
잔디, 비대면 업무의 시작

지인에게 이성을 소개받고, 약속장소를 정해 첫 만남을 갖는 소개팅 과정이 온라인으로 옮겨졌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정적인 시선을 보냈다. “상대가 누군지도 모르는데, 어떻게 온라인에서 이성을 소개받느냐”는 의구심과 함께 “범죄에 노출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왔다. 지금은 분위기가 180도 변했다. 1020 세대는 소개팅 앱이나 랜덤 채팅을 통해 얼굴도 모르는 상대방과 온라인에서 처음 만난다. 소개팅앱 아만다의 월평균 순 이용자 수는 11만 명을 기록하고 있고, 글로벌 영상 채팅앱 아자르는 월 이용자수가 19만 명에 달한다.

직장 생활에서도 언택트는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기업들은 주 1회 또는 월 1회 단위로 재택근무를 정례화하면서 업무방식을 변화하고 있다. 스타트업은 기업 설명을 온라인 IR 형태로 진행하고, 관계사 직원과의 첫 미팅을 화상회의 서비스 ‘줌(Zoom)’으로 잡기도 한다. 온라인 협업 툴 ‘잔디(JANDI)’를 서비스하는 토스랩도 이 같은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변화의 시기가 예상보다 빨리 찾아왔을 뿐, 과거부터 준비한 미래 변화를 현실에 맞게 적용 중이다.
 

[김대현 토스랩 대표이사.]


김대현 토스랩 대표를 강남구 소재 사무실에서 만난 건 한 달 전 쯤이다. 잔디의 월 단위 사용자 수가 전년 대비 3배 증가하고, 가입자 수도 200만 명을 돌파하면서 코로나19 수혜기업으로 주목받던 때였다. 지난 5월만 해도 코로나19가 진정국면에 들어서는 시기였기에 코로나19 이후 사업 방향에 대한 계획이 궁금했다.

김 대표는 “올 2월 특이한 상황이 발생했을 뿐이지, 코로나19 이전부터 온라인 협업은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었다. 이제는 그 변화 속도가 조금 더 빨라졌을 뿐이다”라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엿보는 것이 아닌, 과거부터 지녀왔던 문제의식을 동일 선상에서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는 의미였다. 

사실 김 대표에게 건넨 첫 번째 질문은 ‘잔디는 어떤 서비스인가?’였다. 이 하나의 질문에 토스랩의 미션, 온라인 협업 도구의 필요성, 현장 기업들의 변화 등을 10여 분간 설명했다. 그는 “어차피 물어볼 것 같아서 (한 번에 답변했다)”고 했다. 그동안 얼마나 많은 질문이 건네졌는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었다.

왜 사람들은 잔디 서비스를 사용하고, 관심을 가질까. 토스랩 자체 조사에 따르면 잔디 사용 이후 해당 기업에 불필요한 오프라인 회의가 30% 줄고, 팀원 간 이메일 작성이 80% 감소했다. 업무 생산성은 56% 개선됐다. 관리자와 일반 팀원 모두가 느낀 변화였다. 코로나19가 아니더라도 현장에서는 이미 언택트 업무의 효과성이 증명되고 있던 셈이다.

김 대표는 “초반에는 주변 스타트업부터 고객화했고, 이를 레퍼런스 삼아 2018년까지 중소기업을 고객으로 만들었다. 재밌는 점은 지난해부터 이름만 대면 다 아는 아워홈, 경동도시가스, 파고다 등도 잔디를 쓰기 시작했다”며 “코로나19는 ‘내부 시스템을 뜯어고쳐야 하는데’라고 생각하던 기업들이 고민을 실행하는 시간을 앞당겼다. 비대면 업무를 카톡으로 처리하던 기업이 업무 전용 툴을 찾고, 직접 이용하는 사례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토스랩은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던 2월부터 5월까지 재택근무를 시행했다. 약 3개월간의 재택근무 성과에 대해 김 대표는 “낫 배드(Not Bad)"라고 평가했다. 스타트업처럼 업무가 고정돼 있지 않은 조직에서 직원들이 장기간 떨어져 근무했을 때, 팀 단위 업무에 있어 효율적인 업무 시스템이 조금 더 갖춰져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다만, 재택근무가 보편화하고 집 내부에 온라인 협업 공간이 구축될수록 비대면 협업 트렌드는 더욱 가속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 대표는 “이제는 하나의 회사 건물에서도 5층, 10층에 나뉘어서 일하고, 부서 특성에 따라 본사 건물을 벗어나기도 한다. 글로벌 시대에 직원들은 각기 다른 나라에 위치한 사무실에서 협업해야 하고, 이런 환경은 온라인 협업 툴을 필요로 한다”며 “현재 화상회의는 평면적이기 때문에 당장 대면 업무가 사라지진 않겠지만, 부정적으로 인식되던 데이팅 앱에서 처음 만난 이성과 교감하듯 워크 플레이스와 업무 형태가 변화면서 비대면 업무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갈 것”이라고 자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