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한국이 K방역에 성공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민관의 협업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박상철 전남대 석좌교수(국제백신연구소 한국후원회장)은 6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K-방역포럼’에서 한국의 코로나 위기 극복 요인을 이같이 꼽았다.
그는 “민·관·학·산의 총체적 협업을 통해 현재의 성과를 이뤘다”면서 “특히 이 과정에서 보여준 공무원(정부부처, 지방자치단체 직원), 의료계(의사, 간호사, 간호보조사, 요양사, 구급대원, 진단검사진, 역학조사반, 자원봉사자), 산업계(진단키트 공급, 마스크, 산소호흡기 등 의료장비 공급), 학계(바이러스 특성 분석 보고)가 협력하고 생활격리시설을 지역에서 수용했다”고 설명했다.
또 정부의 신속 대응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했다. 박 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를 통해 전달된 바이러스 정보를 신속하게 공개해 업계가 진단키트를 신속하게 준비하게 했다”면서 “초기 문제되었던 마스크 부족 문제를 국가가 직접관리하면서 평등하게 배분되고 생산을 보장하여 공급에 문제가 없게 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한국 과학기술의 창의성도 짚었다. 박 교수는 “학계는 바이러스를 분석하고 새로운 진단시스템을 창안해내었을 뿐 아니라 검역을 위한 드라이브스루, 워크스루 검사시설을 창안했다”면서 “공항에서부터 철저한 추적조사를 시행하는 모바일앱을 개발해 명확하게 추적할 수 있게 했다”고 강조했다.
이 외에도 박 교수는 “코로나 대응시스템에서 헌신한 의료인력이 희생을 최소화했다”면서 “이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의심대상자의 진단과 확진자의 치료 및 관찰대상자의 생활격리 제반 비용을 국민의료보험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으로 해결한 점도 돋보인다”고 강조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이번 코로나사태에 대해 우리 당국은 유비무환(有備無患)과 속전속결(速戰速決)의 병가적 원칙에 따라 대응했다”면서 “우리 국민들은 많은 자신의 희생을 감수하며 상부상조(相扶相助)와 환난구휼(患難救恤)의 우리 전통사회 두레정신으로 임했기에 위기를 성공적으로 대처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박 교수는 “우리 대한민국은 이 같은 위기 상에서 이렇게 역사를 만들었다”며 K방역을 역사의 한 페이지로 정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