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이 고로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사실상 원천 차단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실제 공정에 성공적으로 적용했다.
현대제철은 22일 고로 정기보수 후 고열의 바람을 다시 불어넣는 재송풍 작업 시 가스청정밸브인 '1차 안전밸브'를 통해 고로 내부에 남아있는 유해가스를 정화 후 배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휴풍은 고로 정비에 앞서 고열의 공기 주입을 멈추는 작업이며, 재송풍은 정기보수 후 고열의 바람을 다시 불어넣는 작업을 말한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3월 고로 브리더(안전밸브) 개방으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논란이 발생하자 유럽의 전문 엔지니어링 기술회사와 협업에 나섰다.
이후 3개월간의 기술검토를 거쳐 고로 브리더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가스청정밸브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후 1차 안전밸브로 이름 짓고 유럽 특허 출원까지 마쳤다.
현대제철은 1차 안전밸브를 올해 1월 3고로에 우선 설치해 휴풍 시 성능을 시험했고, 결과가 성공적으로 나오자 상반기 중 모든 고로에 1차 안전밸브 설치를 완료했다.
이어 지난달에는 2고로, 1고로에서 재송풍 때 가스청정밸브를 활용해 대기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달 10일에는 환경부 관계자가 참관한 가운데 3고로에서도 재송풍 시 대기오염물질 저감 작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관계자는 "1차 안전밸브는 조업 안정성까지 확보한 환경·안전설비"라며 "국내외 제철소에서 설치를 원할 경우 적극적으로 기술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대제철은 22일 고로 정기보수 후 고열의 바람을 다시 불어넣는 재송풍 작업 시 가스청정밸브인 '1차 안전밸브'를 통해 고로 내부에 남아있는 유해가스를 정화 후 배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휴풍은 고로 정비에 앞서 고열의 공기 주입을 멈추는 작업이며, 재송풍은 정기보수 후 고열의 바람을 다시 불어넣는 작업을 말한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3월 고로 브리더(안전밸브) 개방으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논란이 발생하자 유럽의 전문 엔지니어링 기술회사와 협업에 나섰다.

현대제철은 1차 안전밸브를 올해 1월 3고로에 우선 설치해 휴풍 시 성능을 시험했고, 결과가 성공적으로 나오자 상반기 중 모든 고로에 1차 안전밸브 설치를 완료했다.
이어 지난달에는 2고로, 1고로에서 재송풍 때 가스청정밸브를 활용해 대기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달 10일에는 환경부 관계자가 참관한 가운데 3고로에서도 재송풍 시 대기오염물질 저감 작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관계자는 "1차 안전밸브는 조업 안정성까지 확보한 환경·안전설비"라며 "국내외 제철소에서 설치를 원할 경우 적극적으로 기술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사진=현대제철 제공]](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2/22/20201222133048829291.jpg)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사진=현대제철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