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1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해 3차 피해 지원 대책, 설 민생대책, 부동산시장 안정화 등을 신속하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우선 정부는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의 신속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를 강화한다. 구체적으로 치료제 임상지원 627억원, 백신 임상지원 687억원, 비임상지원 74억원 등을 각각 배정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1/19/20210119093741522481.png)
소상공인 버팀목자금[사진='버팀목자금' 홈페이지]
기재부는 3차 재난지원금을 통해 4조1000억원의 소상공인 버팀목자금과 3800억원의 긴급고용안정지원금을 편성했다.
소상공인의 경우 일반업종은 100만원을 받고, 집합제한·금지업종(각 11종)은 추가로 100만∼200만원을 받는다. 긴급고용안정지원금은 기존 지원금을 받은 경우 50만원, 새로 신청한 경우 100만원을 받는다.
정부는 해당 지원금 지급을 설 연휴 전에 완료할 계획이다.
집합금지·영업제한 조치를 받은 소상공인 40만명에게 4조원 규모의 특별융자도 지원한다.
집합금지 소상공인 10만명을 대상으로 1인당 1000만원 한도로 연 이율 1.9%의 저금리로 융자를 지원하기로 했다. 18일부터 영업제한 소상공인 30만명에게 보증료를 감면(1년차 면제, 2~5년차 0.6%)하는 등 3조원 규모의 자금 공급도 시작했다.
‘착한 임대료’ 등 자발적 임대료 인하에 동참을 유도하기 위해 소득 법인세 공제율도 현행 50%에서 70%로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주택 공급 방안 마련 등 정책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공공택지, 공공 재개발·재건축, 공실 임대주택·오피스 활용, 질 좋은 임대주택 등을 통해 주택 공급을 늘린다. 공공 재개발 사업지를 이달 내 선정하고, 공실 임대주택은 2월 26일부터 입주가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 도심 내 주택 추가 공급 방안도 마련한다.
오는 6월 1일부터는 법인·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부담이 강화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