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 유명인사의 말 한마디 등 작은 시그널에도 예민하게 반응하면서 관련주를 눈여겨보는 투자자들의 마음도 어지럽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비트코인 우상향' 가능성을 높게 보고, "믿고 투자해도 괜찮다"는 의견을 표했다. 비트코인이 엄연한 자산으로 인정받고 있고 수익률이 이를 증명하는 만큼 대세 상승기를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은 "지난 2017년 광풍 때는 '거품'이라는 지적이 많았지만, 지금은 '대안시장'이라는 확신이 뚜렷해지고 있다"며 "실제 수익률 등 데이터가 이를 증명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비트코인은 때때로 주춤하면서도 결국 우상향할 것"이라며 "개인적으로는 전반기 5000만원, 연말 1억원 돌파를 전망했기에 상승세가 다소 가파르다는 느낌도 들지만, 이 역시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자산으로 인정하는 속도가 빨라졌다는 방증 아니겠냐"고도 했다.
블록체인협회의 한 관계자도 "글로벌리 평가는 전향적인 게 사실"이라며 "미국의 경우 통화감독청이 직접 나서 거래소에 은행 라이선스를 부여하는 등 제도적으로 보다 나아가는 모습"이라고 했다.
최근 북미시장에서만 세 번째로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가 상장에 성공한 점, 기관투자자들이 추매를 서두르고 있는 점 등도 이 같은 관측을 강화한다.
금리인상 우려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로 인한 패권다툼도 대세 상승기에 접어든 비트코인엔 별다른 장벽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박성준 센터장은 "현금이 있는데 수표, 상품권이 통하는 것처럼 CBDC가 나오면 '암호수표', '암호상품권'이 나올 것으로 본다. 디지털 자산끼리 상보적 관계를 형성한다는 것"이라며 "금리가 다소 오르더라도 비트코인의 수익률이 워낙 압도적이라 부정적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대장코인'을 제외한 '군소코인'의 전망은 불투명한 만큼, 관련주 투자 역시 선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박성준 센터장은 "향후 몇 년 내 현재 가상자산의 90% 이상이 사라지고 그 자리를 새로운 가상자산이 채울 것"이라며 "내가 눈여겨보는 코인의 비전, 목표, 필요성 등을 충분히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힘줘 말했다.
일각에서는 비트코인이 '혁신'을 등에 업고 성장했지만, 이면에는 '욕망'만 가득하다며 장밋빛 전망은 금물이라고 지적한다.
홍기훈 홍익대 경영학과 교수는 "2017년 폭등 때는 혁신에 베팅한 투자자가 대부분이었다면, 지금은 투기에 동참한 투자자가 대부분"이라며 "투기수요가 떠받치는 시장은 폭락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비트코인은 '혁신'이라는 이름밖엔 가진 것이 없는데, 새로운 혁신의 아이콘이 등장하면 어떻게 되겠나. 신기루처럼 사라지는 것"이라며 "상승론자들의 주장처럼 혁신이 현실화한다면 더 이상 혁신의 이름에 숨을 수 없어진다. 비트코인이 가진 자기모순 중 하나"라고도 했다.
비트코인은 실체가 없다는 지적도 꾸준하다. 홍기훈 교수는 "증권, 채권 등은 기업을 사기 위한 도구지만 비트코인은 그렇지 않다"며 "주식 투자금액은 실물경제로 흘러들어가지만 비트코인 투자금액은 그렇지 않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