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에 따르면 20년 후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현재와 유사한 수준이나 강수일수가 감소할 전망이며, 기온 상승으로 물 증발량이 증가하여 가뭄 발생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섬 지역은 하천이 부족하고 물 저장이 어려워 가뭄 위협에 더 크게 노출되어 있다.
이에 정부는 섬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가뭄 상황에 선제적·과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범정부 합동으로 '섬 지역 가뭄 대비대책'을 올해 최초로 마련하였다.
우리나라에는 467개의 유인 섬이 있으며, 82만여 명의 주민이 섬에 거주 중이다. 유인 섬 중 45%인 210개 섬에는 상수도가 공급되고 있다.
상수도가 공급되지 않는 나머지 257개의 섬에는 약 3만5000명의 주민이 거주 중이며, 소규모 급수시설, 관정, 담수 설비, 운반 급수 등을 주 수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행안부는 섬 지역 가뭄 대비대책의 주요 과제로 △섬에서 사용 가능한 용수 확보 △섬에 물을 저장하는 인프라 확충 △ 섬-육지 간, 섬 내 용수 연계 대책 마련 △과학적인 섬 가뭄 예측·관측 체계 가동 등을 세웠다.
이를 위해 행안부는 섬의 상수도 공급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해저관로, 관정, 저수지 등 기반시설 구축을 지원하고 2027년까지 총 2444억 원을 투자한다. 이러한 대책을 통해 현재 4200명인 비상급수를 지원받는 섬 주민을 2024년 중 3000명 이하로 감축할 계획이다.
또 상습 물 부족 섬에서 유역 특성을 고려해 지하수 저류댐을 구축하여 지하수 저장공간을 확충하고, 2027년까지 4개소의 저류댐을 건설해 1160㎥/일의 용수 저장공간을 확보한다.
아울러 육지 지역 호수의 여유 수자원을 물 부족 섬에 공급한다. 2027년까지 2개 섬을 대상으로 수혜면적 1만8078ha 규모의 수계 연결 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섬 내의 농업용수와 생활용수 간 연계를 강화하여 비영농기 등 사용량이 적거나 여유수량이 있을 때 주민 협의를 거쳐 저수지의 농업용수를 생활용수로 공급한다. 올해 2개 섬, 3개 저수지를 대상으로 연계사업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는 섬 가뭄 예측·관측망을 구축하여 지하수 관측지점 81개소에서 해수 침투, 지하수위 변화 등을 상시 측정한다. 무인드론과 무인수심 측량보트를 활용해 섬 내 5개 저수지의 저수량을 분석하고, 준설 필요량을 정확하게 계산한다.
섬 가뭄을 대비하기 위한 작업에도 들어간다. 비상용수 공급기술 R&D를 추진하고 가뭄 전문가 그룹을 운영해 가뭄 예측·대응 기술의 현장 적용을 지원한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가뭄이 발생하면 다른 어떤 지역보다 섬 지역 주민들께서 심각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며 "정부는 지자체와 함께 섬 주민들이 가뭄 걱정 없이 생활하실 수 있도록 현장에 맞는 대책을 세심히 준비하고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