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M&A시장 美신용위기 영향 없없다"
UBS는 11일 지난 2003년 이후 국내에서 이뤄진 12건의 기업 인수합병(M&A)에 대해 조사한 결과 피인수회사들은 코스피지수에 비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인수회사들은 피인수회사들에 비해 수익률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2개 피인수회사들은 M&A 계획이 발표되기 전 1년 동안 코스피지수의 82%를 상회하는 수익률을 기록했다.
인수가격 결정일 이후 1년 동안은 코스피지수에 비해 수익률이 10% 밑으로 떨어졌지만 M&A 계획 발표와 우선협상자 선정 발표까지는 코스피지수 수익률의 17%를 웃돌았다.
반면 인수회사는 피인수회사에 비해 주가 수익률이 M&A 발표 전 3개월 동안은 29%, 발표 전 6개월 동안에는 33% 밑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수회사는 M&A 계획 발표 이후부터 우선협상자 선정 기간에도 피인수회사에 비해 수익률이 19%나 부진했다.
UBS는 한국의 M&A시장이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나 이에 따른 글로벌 신용경색에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실제 몇몇 거래가 최근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올해는 현대E&C가 M&A의 첫 테이프를 끊을 것으로 보인다며 주요 인수 후보자로 현대중공업과 KCC, 현대그룹 등을 꼽았다.
조준영 기자 jjy@ajnews.co.kr
<ⓒ'아주일보'(www.ajnews.co.kr)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