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글로벌 인플레 후폭풍 시작되나?...다우케미컬 20% 가격 인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8-05-29 07:3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세계 화학업계에 우려했던 일이 발생했다. 미국 최대 화학업체인 다우케미컬이 유가 상승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전제품 가격을 20% 인상하겠다고 밝혀 관련업계에 미칠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다우케미컬은 다음달부터 모든 제품의 가격을 20% 끌어 올릴 것이라고 밝혔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원자재 비용 1분기에만 40% 증가=다우케미컬은 원유 등 비롯한 원자재와 에너지 비용이 1분기에만 42% 급증했다면서 가격 인상의 이유를 설명했다.

   
 
다우케미컬의 앤드류 리버리스 최고경영자(CEO.
다우케미컬의 앤드류 리버리스 최고경영자(CEO)는 "유가가 올초 배럴당 100달러에서 130달러대로 올랐고 천연가스 가격 역시 올들어 56% 상승했다"면서 "원가 부담이 견딜 수 없는 수준이다"라고 강조했다.

다우케미컬은 일반적인 플라스틱과 도료 등 거의 전 산업에서 사용되는 산업제품을 만드는 회사다.

특히 이번 가격 인상폭은 100년이 넘는 회사 역사상 가장 큰 폭으로 화학업계는 물론 최근 제조업종이 처한 원자재 가격 압박이 어느 정도인가를 여실히 반영했다는 평가다.

블룸버그는 최근 주요 기업들의 재정상황을 감안할 때 초콜릿업체 허시, 식품업체 제너럴밀을 비롯해 세계 최대 종자업체 몬산토 역시 가격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다우케미컬의 리버리스 CEO는 가격 인상을 발표하면서 정부의 무능력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그는 "정부는 지난 수년 동안 에너지 비용 상승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했다"라면서 "이는 결국 업계는 물론 소비자들에게 고스란히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업종 가격 인상 바람 불가피=업계는 물론 전문가들은 다우케미컬이 전세계 화학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안할 때 관련 기업의 가격 인상 바람이 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케빈 맥카시 애널리스트는 "화학업체들은 '에너지 쇼크'를 상쇄할 만한 조치를 찾고 있다"면서 "다우케미컬 뿐만 아니라 주요 업체들은 최근 수년에 걸쳐 비용 압박과 싸워왔다"고 말했다.

그는 "다우케미컬을 비롯해 경쟁업체들은 비용 압력과 수요 감소에 직면했다"면서 "주요 기업들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다우케미컬의 주요 거래기업인 솔로컵의 앤지 채플린 대변인은 "주요 공급업체들의 가격 인상은 제조업계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면서 "자체적으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결국 이같은 비용 상승 부담은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거대 화학기업 BASF의 마크 스티븐슨 대변인 역시 최근 업계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시했다.

그는 "모든 기업들이 비용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있다"면서 "BASF는 아직까지 전격적인 가격 인상 계획을 정하지는 않았지만 제품별 가격 인상은 어쩔 수 없다"고 설명했다. 

현재 기업들이 처한 인플레 압박은 거의 전 업종에서 찾아볼 수 있다. 거대 소비재업체인 킴벌리클라크는 지난 23일 자사의 주력 제품인 하기스 기저귀를 비롯해 티슈 등 주요 제품 가격을 7월말부터 6~8%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프록터앤갬블의 폴 폭스 대변인은 "우리는 올초 일부 가격 인상 계획을 밝혔다"면서 "다우케미컬의 가격 인상에 대해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美 재계, 로비활동 등 생존 몸부림=한편 미국 재계는 비용 상승 부담을 이겨내기 위해 전방위적인 로비 활동을 벌이고 있다.

미국화학협회(ACC)가 지난 1분기 정부의 에너지정책 개정과 기타 이슈를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국회의원들을 대상으로 사용한 자금은 77만달러라고 AP통신은 전했다.

다우케미컬을 비롯해 화학업체들은 지난해 에너지 관련 로비 자금은 240만달러를 사용했다.

다우케미컬이 자체적으로 1분기에 사용한 로비 자금은 54만달러다. 지난해 다우케미컬은 340만달러의 자금은 로비활동에 썼다. 

전문가들은 유가를 비롯해 원자재 가격이 안정되지 않는 한 로비 활동을 통해 기업들이 얻을 수 있는 효과 역시 제한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민태성 기자 tsmi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