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선진국의 금융 완화 정책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 돈이 넘쳐나고 있는 데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원유 및 곡물시장에 몰린 투기자금도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구로다 하루히코 아시아개발은행(ADB) 총재는 3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과 가진 인터뷰 내용을 통해 "거액의 경상흑자와 연 10% 이상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중국의 경우 긴축정책으로 위안화 가치가 높아졌다"며 "고성장을 지속하는 국가들은 성장률이 1~2% 포인트 떨어져도 당분간 인플레 억제 정책을 우선하는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또 구로다 총재는 "아시아 지역의 쌀 가격이 과다하게 오를 경우를 대비해 각국은 빈곤층이 곡물을 살 수 있도록 재정을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미경 기자 esit79@naver.com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