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 과일 값 중 40~70%나 유통비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8-08-25 11:1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농수산물유통공사, 농산물 유통 실태 조사서 밝혀

“복잡한 농축산물 유통구조로 농민과 소비자만 골병든다.”

고기. 과일 등 농축산물의 유통비용이 턱 없이 높은 것으로 확인돼 이 같은 비난이 거세다.

25일 농수산물유통공사(aT)의 ‘2007년 주요 농산물 유통실태 조사 결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42개 대표 농축산물의 다양한 유통경로를 추적해 가격 형성 과정을 분석한 결과, 평균 최종가격 중 농가에게 돌아가는 몫의 비율은 44.1%, 유통비용은 55.9%로 집계됐다.

즉 농축산물이 100원짜리 일 때, 농가에 돌아가는 돈은 44원이며 56원은 모두 유통. 판매에 관여한 사람들이 챙긴다는 얘기다.

유통비용 55.9%는 운송.포장.수수료 등 고정비 성격의 직접비가 17.2%, 임대료.인건비 등 간접비가 18.2%를 각각 차지했다. 나머지 20.5%는 이윤이었다.

단계별로는 출하와 도매 단계 유통비가 각각 15.5%, 11.4%인데 비해 소매단계에서 무려 29.0%가 집중적으로 추가됐다.

평균 유통비용 비중은 ▲ 쌀.콩.감자 등 식량작물 55.3% ▲ 배추.무 등 엽근채류 70.0% ▲ 수박.참외.토마토 등 과채류 39.7% ▲ 고추.마늘.양파 등 양념채소류 61.6% ▲ 사과.배.포도 등 과일류 53.3% ▲ 장미.국화 등 화훼류 57.7% ▲ 소.돼지.닭고기 등 축산류 40.7%로 조사됐다.

소매단계 유통비만 따지면 화훼류가 39.0%로 가장 높았다. 이어 엽근채류(34.6%), 식량작물(33.8%), 양념채소류(31.4%), 과일류(22.5%), 축산류(22.3%), 과채류(22.0%) 등의 순이었다.

주요 세부 품목별로는 대파(81.5%), 당근(75.1%), 봄감자(72.2%), 가을배추(70.0%), 상추(68.5%), 고구마(64.4%) 등의 유통비 비중이 60%를 웃돌았다.

장미(58.5%), 복숭아(57.4%), 감귤(56.3%), 풋고추(54.2%), 배(50.0%), 닭고기(49.1%), 사과(43.6%), 돼지고기(41.4%) 등도 절반 이상을 웃돌거나 육박했다.

방울토마토(37.6%), 쇠고기(37.4%), 계란(34.9%), 쌀(21.2%)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대체로 부피가 크고 무거운 품목일수록, 또 장성이 낮고 산지 포장화가 미흡한 품목이 유통비용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농축산물이 도매시장을 거쳐 일반 소매상 판매하는 경우 평균 유통비 비중이 56.5%인데 비해 농가가 유통업체에 직접 공급하면 45.0%로 11.5%포인트나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농가-유통업체’ 형태의 직거래에서 생산자는 도매시장에 넘긴 것보다 21.9% 정도 높은 값을 받았다. 소비자도 일반 소매점보다 7.7%정도 싸게 살 수 있었다.

김은진 기자 happyny777@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