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관련 유언비어 정황 속출
공매도를 주도해온 외국인이 증권시장 악성루머를 퍼뜨렸다는 의혹이다.
4일 금융감독원은 증권시장에서 악성루머를 유포하는 세력과 공매도 사이 연계성을 조사할 방침이라며 외국인 투자자를 용의선상에 올려놨음을 시사했다.
주식을 빌려 매도하는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상한 외국인이 주로 이용한다. 미리 팔아놓고 주가가 내리면 싸게 사 갚을 수 있어 흐름을 잘 타면 거액을 챙길 수 있다.
최근 증권시장 악성루머에 앞서 공매도가 대폭 늘었다는 점이 외국인을 의심하는 이유다. 실제 공매도 세력이 이용하는 대차거래 잔고는 올해 들어 코스피지수 1500선이 깨지기 전까지 꾸준히 증가했다.
지난달에는 증권가 메신저를 통해 홍콩 외국인이 건설주 대차물량을 많이 구하러 다닌다는 쪽지가 돌면서 해당종목이 급락하기도 했다. 이때 증권가는 쪽지를 돌린 주체가 해당종목을 공매도하거나 대차거래한 뒤 주가하락으로 이익을 챙기기 위한 세력일 것으로 추정했다.
하이닉스는 전환사채(CB) 추가발행이 자금위기 때문이라는 루머가 퍼지면서 6월 주가가 급락했으며 이 무렵 누적 공매도가 가장 많았다. LG전자도 영업이익률에 대한 악성 루머가 돌기 직전까지 공매도 상위종목에 올랐다. 유동성 루머에 휩싸인 금호와 두산그룹 또한 악소문이 나온 날 공매도가 대폭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외국인 공매도 물량이 어마어마한데 이 물량은 되사서 갚아야 하는 빚이다. 해당 종목을 최대한 내려 놓고 청산 하기 위해 위기설을 그럴 듯하게 포장했다"고 말했다.
문제는 종목 투자자와 해당기업은 큰 피해를 입었지만 외국인이 공매도를 위해 악성 루머를 퍼뜨렸는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대신증권 성진경 투자전략팀장은 "증시 루머를 자칫 맹신하다가는 이를 악용하는 공매도 세력에 이용될 수 있다. 투자에 앞서 철저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전했다.
조준영 기자 jjy@ajnews.co.kr
<ⓒ'아주경제'(www.ajnews.co.kr)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