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재계가 검찰의 사정(司正) 칼바람에 쑥대밭이 되고 있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현재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윤갑근 부장검사)는 납품업체로부터 24억원의 뒷돈을 받은 혐의로 KTF 조영주 전 사장을 구속하고, KTF의 납품비리 의혹으로 수사 중이다.
검찰은 조 씨가 납품업체 B사로부터 받은 24억원 중 수표로 받은 10억원이 현금화된 것을 파악하고 사용처를 집중 추적하고 있다.
검찰은 조 씨가 작년 5월 B사 대표 전모(구속) 씨로부터 10억원을 500만원권 자기앞수표 200장으로 한꺼번에 건네받은 후 금융기관에 입금했다 수차례에 걸쳐 현금 형태로 찾은 사실을 확인했다.
아울러 KTF가 수도권과 호남지역에서 대리점 등에 지급되는 보조비와 마케팅비 등을 부풀려 수 백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최근 관련 마케팅 조직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해 자료를 분석 중이다.
검찰은 또 이명박 대통령의 사돈인 조석래 회장의 효성그룹 비자금 조성 의혹에 대해서도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문무일 부장검사)는 효성그룹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최근 관련자들을 소환 조사했다.
검찰이 국가청렴위원회(현 국가권익위원회)로부터 효성그룹과 관련된 의혹을 수사의뢰 받은 뒤 관련자를 소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검찰은 올 초 국가청렴위원회(현 국가권익위원회)로부터 효성이 2000년을 전후해 일본 현지법인을 통해 수입부품의 단가를 부풀려 수 백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제보와 함께 관련 서류를 넘겨받았다.
또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으로부터도 자금 거래에 의혹이 있다는 정황을 통보받고, 이번에 본격적인 수사에 나선 것이다.
특히 효성그룹은 이 대통령의 사돈인 조석래 회장이 대주주인 기업으로서 조 회장의 조카인 조현범 한국타이어 부사장이 이 대통령의 셋째 사위라는 점 때문에 재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CJ그룹 이재현 회장의 개인자금을 관리하던 직원의 살인청부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경찰청은 차명계좌로 의심되는 CJ 임직원 명의의 계좌 수 십개에 대한 계좌추적을 벌이고 있다.
약 40여개 내외인 것으로 알려진 이 계좌들은 이 회사의 전 자금관리팀장이었던 이모(40)씨가 이재현 CJ 회장이 물려받은 재산을 관리하면서 운영해 온 것으로, 계좌예치 금액은 약 180억원 정도 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경찰은 해당 차명계좌들의 자금흐름을 추적해 이 돈의 조성 경위, 비자금 의혹의 진위, 금융실명제 위반 여부 등을 가릴 계획이다.
검찰은 또 노무현 전 대통령의 후원자로 지난해 5월 술에 취한 상태로 부산에서 대한항공 비행기를 타 기내에서 난동을 부려 물의를 일으켰던 태광실업 박연차 회장의 휴켐스 특혜 인수 사건을 수사중이다.
아울러 여러 업체들에게 공사비를 부풀려 지급한 후 다시 되돌려 받는 방식으로 비자금 조성 의혹을 받고 있는 강원랜드에 대해 수사도 진행하고 있다.
이밖에도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시절 사업을 크게 확장한 프라임그룹도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검찰수사를 받고 있다.
박재붕 기자 pjb@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