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금융권 "신용위기가 뭐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8-10-05 13:4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미국의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폭발 후 14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금융 불안 사태가 '도미노'처럼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 금융 기관이 받는 손실은 제한될 것이라고 중국청년보(中國靑年報)가 최근 보도했다.

   
 
사진: 서브프라임으로 중국 금융기관의 손실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된 가운데 사진은 상하이 루자주이 금융가.
청년보는 미국 산타모니카에 위치한 '싱크탱크' 밀킨 인스티튜트의 수석연구원인 리 통 박사와의 인터뷰를 인용하여 이 같이 밝히고 페니메이와 프레디맥, 미국 양대 모기지금융기관의 국유화가 중국 금융기관에 가져올 영향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함께 전했다.

지난해 8월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발생후 14개월이 지났다.

사태 이후 미국 부동산 시장의 거품이 붕괴되며 부동산 시장의 바닥찾기 하락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금융 폭풍'은 규모가 더욱 커져 그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올해 9월 페니메이와 프레디맥, 빅2의 국유화가 결정되고 미국 3~5위 투자은행인 메릴린치와 리먼브러더스, 베어스턴스가 파산 또는 피인수됐다.

살아남은 골드만삭스와 모간스탠리마저 일반 은행지주회사로 구조 전환을 선택했고  미국최대저축은행 와코비아가 씨티은행에 헐값에 넘어가는 등 서브프라임 사태는 글로벌 규모의 신 금융 불안을 연쇄적으로 일으켰으며 그린스펀 전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장은 미국이 현재 백 년에 한 번 있을만한 금융위기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같이 서브프라임으로 인한 세계 금융 불안의 끝이 보이지 않는 가운데 중국이 입는 손실에는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 158년의 역사를 뒤로하고 파산에 이른 리먼브러더스.
밀킨 인스티튜트의 리 통 박사는 "중국 금융기관이 서브프라임 사태 속에 입은 손실이 비교적 제한적"이라며 올해 2분기 말까지 전체 아시아 금융기관의 손실 총액은 240억 달러로 그 대부분이 일본에 집중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은행들의 손실액은 31억 달러로 준비금이 충분해 실질적인 영향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발 금융위기를 초래한 페니메이와 프레디맥이 2000억 달러에 미 정부 관리체제로 편입된 것이 중국 금융기관에 가져올 잠재적 영향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리 박사는 2007년 중반까지 중국이 보유한 미국 정부기관 및 정부 자금 보조 기업 발행의 장기채권 규모는 3760억 달러로 그 중 2060억 달러가 자산담보부 채권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예상이 틀리지 않다면 이 2000억 달러의 대부분은 중국 정부가 외환보유고를 사용하여 구매한 페니메이와 프레디맥의 모기지 채권이라고 말했다.

리 박사는 외환보유고의 구조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양대 모기지금융기관이 중국에 얼마나 심각한 손실을 가져올지 판단하는 것은 어렵지만 서브프라임으로 인한 신용경색과 미국 개인 소비 하락세는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 경제에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리 박사는 중국이 이번 서브프라임 위기를 통해 '금융 혁신'의 교훈을 얻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양날의 검'과 같은 금융 혁신이 자본 흐름을 창조하는 한편 합당한 감독관리 시스템이 부족할 경우 경제 시스템 전반에 걸쳐 거대한 리스크와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성민 기자 nickioh@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