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영리 기자) 세계 수출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한국 제품이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국 등 2위국과의 격차도 줄어들어 경쟁력 제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6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UN무역통계를 분석한 결과, 2006년 기준 한국의 세계시장 점유율 1위 품목은 58개로 2005년보다 1개가 줄었고 순위는 17위로 전년과 같았다.
한국의 1위 품목이 세계 수출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로 12위를 차지했고 수출총액은 446억달러로 2005년 대비 34.5% 증가했다.
한국제품의 세계1위 품목 수는 2003년 61개, 2004년 58개, 2005년 59개, 2006년 58개 품목으로 매년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반면 중국은 2006년에 2005년보다 97개 늘어난 1천29개의 세계 시장 1위 품목을 보유해 품목 수에서 세계 1위 자리를 유지했고, 전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중국보다 품목이 적은 독일(866개)이 20.5%로 가장 높았다.
산업별로 섬유, 직물 등 경공업 제품은 19개로 전년보다 4개 항목이 감소한 반면 철강, 선박 등 중화학공업제품이 38개로 2005년보다 3개 늘었다.
2005년에 비해 섬유, 의류 등을 중심으로 12개 품목이 탈락했으며 선박(화물선과 화객선), 전기 기기 등 11개 품목이 새로 1위에 진입했다.
특히 한국의 1위 품목과 2위국과의 평균 점유율 격차는 2002년 10.8%에서 2006년 9.2%로 1.6% 포인트가 감소해 격차가 점차 좁혀지는 추세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14개의 2위 품목을 보유한 중국과의 경쟁이 가장 심했다.
국제무역연구원은 "한국의 1위 품목들은 수출시장에서 상당한 경쟁력을 보유한 품목들이 많지만 조사 결과 경공업을 중심으로 점차 중국에 자리를 내주는 상황"이라면서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기존 1위 품목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시장성과 성장성이 있는 차세대 점유율 1위 품목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육성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miracle@ajnews.co.kr[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