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형 조선업체의 대표기업 C&중공업이 채권단의 자금지원 거부로 200여개 협력업체와 20여개 중형 조선사들의 '줄도산'이 불가피함에 따라 조선업계 전체에 빨간불이 켜졌다.
비단 중형 조선업체만 어려운 것이 아니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등 대형 조선업체들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업계 관계자는 “수출지향적 구조를 갖고 있는 조선업체가 신용경색으로 정상적 은행거래가 대단히 어려운 상황”이라며 “수출입 신용장 한도 약정이 기본적으로 되어 있지만 은행과 사전 협의해야만 개설이 가능한 상황이고 이 경우 정상적 수출입 업무가 어렵고 나아가 기업들의 단기유동성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최근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내년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신생 조선업체에 대한 구조조정을 단행하겠다고 언급했다. 업체별 설비와 경영·기술능력 등을 종합평가 후 회생가능성이 낮은 조선업체에 대해서는 워크아웃과 M&A, 기업간 협력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20여개 중형 조선업체들은 회생지원을 받으려고 노력했지만 은행권이 선수금환급보증(RG)을 기피함에 따라 벼랑 끝에 몰렸다.
이를 입증하는 대표적 단서가 C&중공업에 대한 150억원 상당의 금융권 RG 거부다. C&중공업처럼 RG 채무비율이 일반대출 보다 큰 중형 조선업체들은 워크아웃에 들어가더라도 메리츠화재와 같은 RG 채권기관이 거부하면 물거품으로 끝나기 때문이다.
은행권은 조선업체들의 각종 시설자금과 선박제조 등과 관련한 보증을 꺼리고 심사기준마저 까다롭게 만들어 RG 발급이 원활하지 못하도록 했다.
중형 조선사들이 정상적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도크와 크레인 등 여러 시설들을 갖춰야 하고 그에 따른 초기투자비는 만만치 않으며 내년 해운시황도 불투명해 은행권이 되돌려받을 확률은 그만큼 희박한 것으로 관측됐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은행도 자기자본비율 등을 맞추고 재무건전성을 갖춰야 살아남기 때문에 가망성 없는 기업들에는 가급적 대출을 자제하거나 심사를 까다롭게 본다”고 말했다.
중형 조선업체들은 몇 개월전만 해도 해운호황기를 등에 업고 사업확장이 가능했지만 갑자기 변한 시황에 금융권마저 호의적이지 않아 그동안 벌려놓은 사업에 망연자실했다.
중형 조선사인 SPP조선 관계자는 “세계적 경기 침체로 선박수주가 감소하니 마땅히 대응할 방법이 없어 속수무책”이라며 “한 가닥 경기가 좋아지기만을 기다릴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또 C&중공업 관계자는 “조선소 건설업체와 기자재 협력업체들도 버틸 때까지 버텼다”며 “현재로선 줄도산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심상목 중소조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세계적 경기침체도 금융에서 비롯했기 때문에 은행들도 살아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중형 조선사들의 RG 기피는 불가피하다”며 “내년 중형 조선사들의 줄도산은 불을 보듯 뻔하고 조선시장의 새로운 질서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의 조선업계 구조조정은 20여개 중소 조선업체들을 필두로 2005년 이후 설립한 8개 신생조선사에 대한 워크아웃과 퇴출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준성 기자 fresh@
〈저작권자(c)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