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금융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 6일 C&중공업 워크아웃 기간을 3월13일까지로 한 달 연장하고 해외매각을 시도하는데 대한 의견을 묻는 서면결의서를 돌렸으며 오는 9일 취합할 예정이다.
이는 최대 채권금융기관인 메리츠화재가 지난달 30일 제3자 매각안을 정식 제안한데 따른 것이다.
메리츠화재는 이와 관련, 해외 펀드 두 곳과 투자의향서(LOI)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메리츠화재는 이에 따라 일본 자금으로 운용되는 호주계 펀드와 중동계 펀드로 알려진 이들 두 곳과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추진 안건이 통과되려면 채권단의 75% 이상 동의를 받아야하는데 현재 메리츠화재가 51.48%를 들고 있어서 수출보험공사(21.48%)과 우리은행(4.71%) 등 주요 채권기관들로부터 찬성표를 받으면 가능하다.
채권단 관계자는 "메리츠화재가 주도적으로 M&A(인수&합병)를 하겠다니 매각에 대한 모든 것을 이관하고 한 달은 기다려줘야 할 것 같다"면서 "대부분 매각에 적극 찬성한다기보다는 기다리는데 동의하는 분위기다"고 말했다.
C&중공업은 지난달 20일 이미 채권은행 등으로부터 신용등급 D등급을 받아 퇴출 대상에 오르면서 채권단 지원 없이 자체 정상화를 추진하거나 법원에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이종휘 우리은행장은 "두 차례의 신규자금 지원이 제대로 합의되지 않았으며 워크아웃 진행이 대단히 어렵다는 데 주요 채권 금융기관들이 의견을 모았다"고 C&중공업 워크아웃 중단 배경을 설명한 바 있다.
그런 상황에서 메리츠화재가 해외 매각안을 대안으로 들고 오자 채권단 내에서는 여전히 반신반의하는 분위기가 강하다.
채권단의 다른 관계자는 "메리츠화재가 협상 대상 등 관련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있어서 인수 의향자에 대한 신뢰나 매각 가능성에 대한 확신은 없지만 일단 한 달 을 기다려줄 생각"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매각 협상이 상당히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선수환급금(RG) 위주인 보험사와 대출채권을 들고 있는 은행 간에 이해관계가 엇갈려서 가격은 물론 세부 매각 조건을 조정하기도 쉽지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