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전체성장률 1.3%서 1.1%로 수정
미국의 작년 4.4분기 경제성장률이 -6.2%를 기록, 27년 만에 가장 나쁜 경기흐름을 보였다.
미 상무부는 27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작년 4.4분기에 지난달 추산했던 -3.8%보다 훨씬 가파르게 떨어져 -6.2%를 기록했다고 수정 발표했다.
이에 따라 미국 경제는 1991년이후 처음으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작년 3.4분기 성장률은 -0.5%였다.
상무부는 작년 전체 성장률도 1.3%에서 1.1%로 수정했다.
이는 1982년 1.4분기의 -6.4% 성장 이후 가장 저조한 것이며 수출이 급감하고 소비자 지출이 거의 30년 사이에 가장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재고도 앞서 나온 예상과는 달리 감소한 것으로 판명된 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됐다.
특히 미국 GDP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소비자 지출은 작년 4.4분기에 1980년대 이후 최대인 4.3%나 줄었다.
소비자 지출은 직전분기에도 3.8% 감소를 기록해 소비자 지출 지표를 산출하기 시작한 1947년 이후 처음으로 연속 3% 이상 감소해 경제위축에 따른 소비심리가 얼마나 얼어붙었는지를 잘 보여줬다.
오바마 행정부가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제침체에서 벗어나려고 고강도 경기부양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제너럴 모터스(GM)와 JP모건체이스 등 미국의 대표적인 기업들이 일자리를 줄임에 따라 즉각적인 경기부양 효과가 나오지 않고 있음을 드러낸 것이다.
존 한콕 파이낸셜 서비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빌 체니는 블룸버그 TV와 인터뷰에서 "하락의 속도가 조금도 둔화되지 않고 있다는 증거가 어디에도 없다"며 "경기부양책은 올해 중반에야 효과를 발휘하기 시작할 것 같다"고 말했다.
올해 1.4분기부터 미국 경제가 당장 회복될 기미는 없고 잘해야 2.4분기부터 성장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것이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