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 청정개발 체제(CDM, 탄소배출권) 시장에 진출하려면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를 우선 공략하라"
22일 코트라는 '동남아 CDM 시장현황과 기회' 보고서를 통해 동남아시아 지역의 국가별 CDM 사업 유망 정도 및 분야를 제시하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CDM사업 활성화 정도와 자연조건, 정부 인식 및 지원 정도를 반영해 동남아시아 국가별 CDM 시장 잠재력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가 가장 높은 A등급을 받았다. 베트남과 태국, 캄보디아는 B등급을, 싱가포르와 미얀마는 C등급을 각각 받았다.
국가별로는 필리핀이 풍력과 수력, 지열, 도시폐기물, 바이오매스(에너지로 이용 가능한 동·식물) 분야가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는 조림사업과 청정석탄, 고효율 재생에너지 분야가, 말레이시아는 세계 최대의 팜유 생산국답게 팜 껍데기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사업이 유망분야로 추천됐다.
반면,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싱가포르는 좁은 면적 탓에 대체에너지 개발보다는 에너지 효율화와 탄소시장의 허브가 되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미얀마는 CDM 사업을 위한 자연조건이 뛰어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시장선점을 노린다면 진출을 고려해 볼만 하다고 코트라는 조언했다.
올 3월 기준으로 국제연합(UN)에 등록이 완료됐거나 진행 중인 CDM 프로젝트는 총 4541건이다. 이 중 동남아시아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는 491건으로 전체의 10.8%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코트라는 중국과 인도, 멕시코, 브라질 4개국에서 75.9%인 3446건이 진행되고 있음을 감안할 떄 세계시장에서의 동남아 비중은 큰 편이라고 설명했다.
기세명 코트라 아대양주팀장은 "2012년 교토체제 이후 한국이 온실가스 감축 의무국에 지정될 가능성이 높아 CDM 프로젝트를 통해 탄소 배출권을 미리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동남아 국가별 유망 분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