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서울과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아부다비가 직항으로 매일 연결된다. 그러나 항공업계는 이번 합의가 순수한 항공 수요 조정 목적이 아닌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한 '선심성'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7일(현지시간) 한·UAE간 항공회담에서 '서울-아부다비노선'의 주 7회 운항횟수 신설에 합의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합의로 앞으로 한-UAE간에는 현재 운항중인 에미레이트항공 대한항공외에 새로이 에티하드항공이 매일 인천-아부다비간에 운항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에티하드 항공의 신규취항은 기존 두바이와 카타르 수도 도하로 한정됐던 중동 노선에 선택권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번 결정으로 중동과 유럽을 운행하는 국적 항공사들이 큰 피해를 입을 것이란 전망이다.
UAE 정부로부터 유류비, 세제 등의 혜택을 받는 에티하드 항공사가 한국 노선에 취항할 경우, UAE측 항공사가 이 노선을 독점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특히 한국-UAE 구간 뿐만 아니라 두바이나 아부다비를 경유해 유럽이나 아프리카로 가는 여객과 화물까지 빼앗길 경우, 약 700억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우려다.
업계는 이 같이 불리한 항공협정에 우리정부가 서명한 것은 양국간 항공 수요의 조정이 목적이 아니라 양국 '관계 개선용'이라고 보고 있다. UAE의 건설 수주나 에너지 수입 등 다른 목적을 위해 항공회담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국토해양부는 8일 한·UAE 항공회담 결과를 발표하며 UAE가 우리나라의 제4위 건설시장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국토부는 "(이번 합의가) UAE와의 경제협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유희석 기자 xixilife@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