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의 자체 신경분리안 마련이 답답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농협은 당초 지난달 말까지 신용(금융)과 경제(유통) 사업을 분리하는 자체안을 마련할 방침이었으나 내부 부서간 마찰과 사업 부문간 이해가 상충되면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10일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농협은 이달 5일 자체 신경분리안을 내놓기로 했지만 이를 이달 말로 연기했다.
이는 당초 지난달 말까지 자체안을 마련하기로 한 것에서 두번이나 연기된 것이다.
신경 분리 이후 경제사업을 강화한다는 방침과 관련 사업 부문간 주장이 맞서고 있는 가운데 축산 부문 역시 전문성을 무시하는 방향으로 자체안이 마련될 경우, 강하게 반발할 계획이다.
농협은 이미 사업구조 개편과 관련, 부서별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토론회를 가졌고 오는 16일 조합장과 직원의 의견을 듣는 토론회를 열 계획이다.
빨라야 이번달 말에나 신경분리에 대한 실무적인 초안이 나올 전망이나 이 역시도 확실하지 않은 상황이다.
농협은 민관 합동기구인 농협개혁위원회가 마련한 안은 물론 농협경제연구소, 매킨지컨설팅에 농협이 의뢰해 마련한 것과는 다른 방안을 작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개위 측이 농협중앙회라는 이름을 농협경제연합회로 변경하는 안에 대해서는 기존 브랜드의 가치와 역사성 등을 고려할 때 포기할 수 없다는 것이 농협의 입장이다.
매킨지는 신용사업을 강화하는 쪽에 초점을 맞췄지만 이 역시 당초 경제사업을 강화한다는 신경분리의 취지와 맞지 않다고 농협은 평가하고 있다.
금융위기 여파로 연간 8000억원의 자체 자본금을 적립하겠다는 기본 안을 추진하는 것도 힘들어졌다.
농협은 지난달 기존 분리안에 비해 추가 적립금 규모를 확대해 향후 10년간 적립금 규모를 9조2000억원으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한 바 있다.
당초 정부와 농협, 농민단체 등이 합의한 안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8조2000억원의 적립금을 쌓는 것으로 진행했다.
농협이 기존 분리안과 다른 그림의 자체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경제사업을 중심으로 신용과 경제를 분리한다는 기본 구도를 유지할 방침인 가운데 노조와의 마찰도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남기용 농협중앙회 신임 노조위원장은 "신경분리를 막기 위해 앞으로 3개월 시한부 임기도 마다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현 정권의 막가파식 정책은 분명 잘못됐다"고 말했다.
남 위원장은 "신경분리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부 측이 매년 1조원씩 지원해도 가능한지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민태성 기자 tsmi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