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보유액이 지난 3월달부터 4개월 연속 증가하며 지난해 9월 말 수준에 다달았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말 외환보유액은 2317억3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49억6000만 달러 늘었다. 이는 지난해 9월의 2396억7000만 달러 이후 9개월 만의 최대치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던 외환보유고는 지난 3월 증가세로 전환한 뒤 4개월새 301억9000만 달러 증가했다.
지난해 말 이후 6개월간 증가액은 305억1000만 달러로 상반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다.
한은은 △보유 외환의 운용수익 △외국환평형기금의 외화유동성 공급자금 만기도래분 회수 △국민연금의 통화스와프 만기도래분 4억3000만 달러 상환 △영국 파운드화 등 강세로 미 달러화 환산액 증가 등의 이유로 외환보유고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달 은행 등으로부터 회수한 30억 달러 규모의 외화자금을 외평기금에 예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근철 한은 국제기획팀 차장은 "외화자금 사정이 개선된 무역업체와 은행들이 외화를 상환하면서 외환보유약이 상승했다"면서 "정부의 외화유동성 회수와 무역수지 개선 등으로 당분간 외환보유액 증가는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외환보유액 구성은 유가증권이 2083억4000만 달러(89.9%)로 가장 많고, 예치금 223억9000만 달러(9.7%), 금 8000만 달러(0.04%) 등이다.
5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중국 1조9537억달러(4월말 기준) △일본 1조240억 달러 △러시아 4042억 달러 △대만 3126억 달러 △인도 2623억 달러에 이어 세계 6위를 유지했다.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