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기가 회복단계를 넘어 균형수준으로 회복하는 시점이 임박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빠르게 경기가 좋아질 국가 중 하나라는 전망이 나왔다.
13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최근 경기선행지수(CLI) 보고서에서 한국의 5월 CLI가 99.8로 전달의 97.6보다 1.8포인트가 상승, 29개 회원국 가운데 네 번째로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5월 OECD 회원국 평균인 0.8포인트보다 두 배나 높은 수준이며 한국의 CLI는 4개월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CLI는 산업활동동향, 주택 동향, 금융·통화 현황, 국내총생산(GDP) 흐름을 복합적으로 계산한 것으로 보통 4~6개월 후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로 쓰인다. CLI가 100 이상에서 상승하면 경기 팽창, 하락하면 경기 하강을 의미하며 100 이하에서 CLI가 오르면 경기 침체에서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은작년 9월 리먼 사태로 글로벌 경기가 침체되면서 CLI가 10월 90.6, 11월 90.6으로 급락했다가 12월 90.8, 1월 91.9, 2월 93.5, 3월 95.5, 4월 97.6, 5월 99.8로 급속히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CLI가 향후 4~6개월 뒤의 경기를 예측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은 이르면 9월부터 균형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5월 CLI는 이탈리아가 100.5로 가장 높았고, 한국은 99.8로 프랑스(100.4), 핀란드(100.2), 멕시코ㆍ뉴질랜드(99.9)에 이어 가장 높았다. 지수 100이 경기의 균형점이라고 본다면 한국은 멕시코와 뉴질랜드와 함께 경기 정상화가 가장 임박한 국가로 볼 수 있다.
OECD는 이 같은 추세를 감안해 한국의 CLI 지수는 6월 100선을 돌파해 연말에는 경기 팽창 가능성까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재정부 관계자는 "5월 광공업생산이 전월 대비 1.6% 늘어 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는데다 사상 최대의 경상수지 흑자 행렬이 이어지는 등 경기 회복세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면서 "하반기에도 적극적인 경기 부양과 수출 지원으로 경기 정상화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서영백 기자 inch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