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관광’이 수익사업에 목말라 있는 여행업계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의료관광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지난 5월 1일 의료관광법 개정으로 인해 해외환자 유치 및 알선이 가능하게 되면서 의료관광에 대한 여행사들의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 뜨겁게 달아올랐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의료관광으로 입국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경우 평균 진료비는 1200만원. 일반 관광객에 비해 10배에 달하는 관광비 지출 효과를 낼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사업이다.
이에 아웃바운드에 주력하던 주요 패키지 여행사들이 국내 병원들과 업무제휴를 맺고 의료관광사업에 뛰어들었지만 시장의 반응은 냉담하다.
업계 관계자는 “의료관광으로 인한 수익성은 기대할만 하지만 시술 후 관리 시스템의 부재와 무분별한 시장 확대에 따른 리스크가 크다”며, “예를 들어 의료사고가 났을 때 재 시술은 해당 병원에서 하겠지만 제반 비용을 여행사에서 책임져야 하는 문제가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료관광의 문제점으로 법 제도의 미비 못지않게 아시아 여타 나라보다 차별화 되고 잘 짜여진 여행 상품과 서비스가 뒷받침 되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 외국인 의료관광객 유치를 위한 의료전문통역원과 풍부한 의료 지식을 갖춘 전문 인력 양성이 가장 시급하다.
의료 마케팅에선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의료 관련 지식과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환자에게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일부 여행사의 경우 높은 커미션에만 현혹돼 환자 유치에만 급급해 부적합한 의료기관에 추천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수익성만 놓고 본다면 의료관광은 분명 ‘황금알을 낳는 거위’다. 2010-2012년 한국방문의 해, 외래 관광객 유치목표 1000만 명을 앞두고, 다각화된 홍보와 제도적인 뒷받침으로 의료관광산업이 여행업계의 고부가가치 미래 산업으로서 발전 가능성을 기대해 본다.
아주경제= 최민지 기자 choimj@ajnews.co.kr(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