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활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서민들에게 적지않은 부담을 주고 있다.
17일 기획재정부, 통계청,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작년 말 가공식품 가격이 대거 인상된데 따른 충격이 채 가시지 않은 가운데 채소와 설탕값이 오르면서 장바구니 물가가 더 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궂은 날씨 탓에 채소 가격이 폭등하고 각종 공공요금도 인상됐다. 여기에다 부동산가격과 전세가격이 오르면서 주거비용도 커지고 있다.
7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로 9년2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식탁에 거의 매일 오르는 채소와 과일, 어패류의 물가는 평균 20~50% 올라 물가 하락을 체감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원자재 가격 부담을 내세워 공공요금도 오르고 있다.
서울과 경기도의 택시 기본요금이 각각 6월과 8월부터 500원, 400원씩 올랐고 전기요금은 지난 6월27일부터 평균 3.9% 상승했으며 가스요금도 평균 7.9% 인상됐다. 서울시의 지하철과 버스요금은 내년에는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항공요금도 다음 달부터 국제선 왕복 기준으로 최대 5만7000원 오른다. 6개월 만에 유류할증료가 다시 부과되기 때문이다. 국내선 유류할증료도 3300원에서 4000원대로 올라간다.
국내 주유소의 보통 휘발유 판매 가격은 ℓ당 평균 1600원선을 넘어섰고 서울시내 일부 주유소는 ℓ당 2000원에 육박했다.
이달 들어서는 가정용으로 주로 쓰는 프로판가스와 차량용 부탄가스의 가격도 전달대비 11.2%, 7.4% 인상됐다.
교육비도 심상치 않다. 일단 고등학교 교과서 가격이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가격이 자율화되기 때문이다. 고등학교 교과서는 올해 들어 지난 7월까지 이미 14.5% 인상됐다.
가뜩이나 학부모의 허리를 휘게 하는 학원비도 우려 대상이다. 이밖에 정부가 TV와 냉장고, 드럼 세탁기, 에어컨 4개 품목에 대해 개별 소비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최소 5% 이상 가격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정부는 친서민 정책의 일환으로 서민이 주로 사용하는 생필품이나 공공요금 가격 공개를 통해 가격인하 경쟁을 유도하겠다는 복안이지만 추진 속도가 예상보다 더딘데다 일각에서는 효과에 대한 의문도 제기하고 있다.
정부가 강력한 물가안정책을 실시할 주도권을 갖고 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민간의 기업 활동에 개입할 여지가 그만큼 좁기 때문이다.
아주경제= 서영백 기자 inch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