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는 행정학과 심리학, 교육학 전문가 등으로 점검단을 구성해 출제 문항의 적절성과 수험생 부담 여부 등을 점검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10월 말까지 관련 연구용역을 수행한 뒤 결과를 공지할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PSAT 중간점검이 PSAT 존폐 자체에 관한 논의는 아니다"며 "이번 연구의 목적은 PSAT 도입 취지에 맞게 문제가 출제되고 있는지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세부 내용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고 말했다.
PSAT 도입으로 행시·외시 1차 과목에서 헌법과 한국사가 빠진 데 대해 국회와 학계 등이 수험생의 역사인식과 헌법관 등 기초소양을 점검하기에 미흡하다고 지적함에 따라 이들 과목의 검증을 강화하는 방안도 연구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한국사와 헌법 등 공직 기초소양 검증을 강화하더라도 수험생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이뤄질 예정”이라며 “시험 또는 교육을 개선하는 방안이 검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PSAT는 수험생들의 논리적·비판적 사고 능력과 자료의 분석 능력 등 종합적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해 2005년부터 도입됐으나 일부 수험생 사이에선 "사회 전반에 걸친 지식을 요구해 부담이 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아주경제= 이나연 기자 ny@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