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서스 IS250. |
조사에 따르면, 렉서스 IS250은 1년 뒤 중고차 가격이 신차 가격(4850만원)에 비해 650만원 밖에 떨어지지 않은 4200만원이었다. 1년이 지나도 신차 대비 87%의 가치를 인정받은 셈이다.
이어 감가상각률이 낮은 모델로는 BMW 미니쿠퍼(86%), 인피니티 G37세단(84%), 아우디 A4 TFSI Q(84%), 폴크스바겐 골프 2.0 TDI(81%), 벤츠 C200K(81%), 폴크스바겐 파사트 2.0 TDI(80%), BMW X6 3.0D(80%), 푸조 207cc(79%), BMW 528i(76%) 등 순으로 꼽혔다.
반대로 신차에 비해 차 값이 가장 많이 떨어지는 차종은 링컨 타운카였다. 새 차 가격은 7600만원인데 반해 1년 뒤 중고차 가격은 4200만원에 불과해 감가상각률이 5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렉서스 SC430(58%), 크라이슬러 퍼시픽카(58%), 푸조 607 3.0(60%), 볼보 XC90 3.2(62%), 아우디 A8 6.0L(63%), 재규어 XJ 4.2 LWB(63%), 캐딜락 DTS(63%), 페이튼 6.0L(63%), BMW 760Li(69%) 등이 1년 만에 신차 가격이 30% 이상 떨어진 모델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신차가격 5000만원 이하의 중소형 수입차 모델들의 가격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 대형 수입차 모델은 감가폭이 비교적 컸다.
이번 조사는 매달 수입중고차 시세를 평가하는 14명의 시세 전문위원들이 구체적 차량 상태를 배제한 상태에서 1년 2만km를 기준으로 브랜드, 소비자 선호도, 연식 등 일반적 요인을 감안해 이뤄졌다.
김진한 서울오토갤러리 부장은 “이번 수입중고차 감가 상각율 발표를 통해 수입차 혹은 중고수입차 구입 시 참고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라며 “향후 상황에 따라 감가율을 변동 가능하며 차량 상태를 배제한 데이터이니 착오가 없었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오토갤러리는 매달 브랜드, 모델별 연식에 따른 수입중고차 시세 가이드 북을 제작하고 있다.
아주경제= 김형욱 기자 nero@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