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의 분양아파트 중도금 대출의 가산금리는 3%대를 이미 돌파, 글로벌 금융위기 전에 비해 곱절 올랐다.
6% 내외의 고금리의 중도금 대출은 일반 주택대출금리보다도 높은 수준. 일부 대출을 통해 내집을 마련해야 하는 실수요자에게는 큰 부담이다. 치솟는 가산금리는 온기가 돋아야 할 아파트 분양시장에 찬물을 끼얹는 격이다.
15일 관련 업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수도권 신규 분양시장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회복 조짐을 보이면서 은행권의 주택 집단대출 규모가 커지고 있다.
또 대출 금리인상과 정부의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강화 등으로 개인 주택담보대출이 소강국면으로 접어들자 은행들이 DTI규제를 받지 않는 집단대출 영업에 집중하고 있다. 더불어 내년 초까지 훈풍이 부는 신규 분양시장을 겨냥, 집단대출 규모를 큰 폭으로 늘릴 전망이다. 철저한 장사 속이라는 비아냥이 나오는 이유다.
광교·별내·청라·영종지구 등 수도권 주요 택지지구의 신규 분양 중도금 이자는 5.99~6.31%에 이른다. 여기에 적용한 가산금리는 3.1~3.52%에 달한다.
집단 대출은 규모가 크고 건설사가 보증을 서는 방식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개인이 받는 주택담보대출보다 금리가 낮은 편이다. 그러나 현재는 국민은행 3개월 변동 주택담보대출 금리(6.05%, 15일 기준)와 비슷하거나 0.3%포인트 내외 높은 수준이다.
대형건설사와 중견건설사의 차이도 없다. 지난달 비슷한 시기에 광교신도시에서 분양한 삼성물산과 호반건설은 모두 3.2%의 동일한 가산금리를 적용받고 있다.
지난해 분양한 아파트들의 가산금리가 1~2%선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이자가 오른 셈이다.
이 처럼 은행들이 집단 대출의 금리를 높게 적용하자, 분양시 대출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이는 결국 분양 시장을 위축 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업계관계자는 "분양시장의 리스크가 줄어들고 건설사들의 재무상황도 점차 개선되고 있다"면서 "CD금리와 연동하는 집단대출의 가산금리가 높아갈 수록 신규 주택계약자의 부담이 커지고 재건축과 재개발의 사업비도 늘어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다른 관계자는 "개인 주택담보대출은 모르겠지만 집단 대출은 규모가 큰 만큼 가산금리가 좀 낮아야 하는데 별 차이가 없다"며 "금융권의 '잇속 챙기기식'의 가산금리 인상은 결국 분양시장을 위축시키고 가계부담을 가중시키는 등 부작용을 낳는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