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적 선사에 운송계약 우선권 방침 철회
-한전-해운업계 수송권 갈등 재연
한국전력의 발전 자화사인 한국동서발전이 연료탄ㆍ유연탄 등 전략화물 장기 운송계약 시 국적 선사에 우선권을 준다는 방침을 세웠음에도 이를 뒤집고 또다시 외국 선사를 낙점해 물의를 빚고 있다.
한전 관계자에 따르면 김쌍수 한전 사장을 비롯해 남동ㆍ중부ㆍ서부ㆍ남부ㆍ동서발전 등 5개 발전자회사 사장들은 지난달 16일 사장단회를 열고 입찰 시 국적선사에 우선권을 주는 방안을 합의했다.
하지만 16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동서발전이 10년 동안 연간 90만t의 유연탄을 수송하는 계약에 최근 일본 선사인 NYK의 한국법인 'NYK 벌크쉽코리아'를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서발전이 NYK 벌크쉽코리아를 내정한 이번 계약은 지난 10월과 11월 한진해운ㆍ현대상선ㆍSTX팬오션ㆍ대한해운 등 국적 선사들의 보이콧으로 연속 유찰된 2건 가운데 하나다. 나머지 하나는 SK해운이 이달 초 수의 계약을 맺었다.
특히 이번 계약이 성사되면 동서발전은 올해만 NYK 벌크쉽코리아와 2건의 장기 운송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국적 선사들이 한전 및 발전 자회들과 1년에 한건도 계약하기 힘든 상황과 비교하면 지극히 편중된 조치임이 드러난다.
한전과 발전 자회사들이 전략화물 운송계약을 국제입찰로 진행하는 이유는 일본 선사들의 낮은 운임 때문이다. 일본 선사의 경쟁우위는 감가상각이 끝난 선박에 임금 수준이 낮은 외국인 선원을 승선시킴으로서 발생한다.
또한 발전자회사 경영진들이 한전의 경영평가에 대비, 운송비 절감 등 경영실적을 달성해야 하는 것도 일본 선사를 선호하는 이유로 꼽힌다. 실제로 한전 발전 자회사가 올해 발주한 장기 운송계약 6척 가운데 절반에 해당하는 3척을 일본 선사가 차지했다.
이로 인해 최근 한전 및 발전 자회사들은 해운업계와 갈등을 빚어 왔다. 이런 상황에서 동서발전이 또다시 일본 선사를 내부적으로 낙점한 사실이 알려지자 국적 선사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대형 선사 관계자는 "일본 대형 화주들은 지명입찰제로 자국 선사들에 물량을 몰아줘 전략화물 시장을 철저하게 보호하고 있다"며 "공기업인 한전이 해도 너무 한 것 같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현재 일본 토후쿠전력(東北電力)은 NYKㆍMOLㆍK-LINE 등 자국 9개 선사에만 장기 운송을 맡기고 있는 상황이다.
해운업계 전문가는 "대량화물 운송시장 개방으로 외국선사의 시장지배력이 강화되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운임이 상승, 국민경제에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며 한전과 발전 자회사들의 근시안적인 경영행태를 꼬집었다.
이에 대해 한전 및 동서발전 관계자는 "아직까지 특정 선사를 내부적으로 확정한 사실은 없다"면서도 "원가경쟁력 차원에서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일본 선사가 운임 부문에서 국적 선사보다 앞서 있는 것은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병용 기자 ironman17@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