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기후변화협약(UNFCC) 제15차 당사국 회의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제시 등 포괄적인 합의안 도출에 실패했다.
다만, 미국, 중국, 인도,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5개국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을 내달까지 서면제출하기로 하는 5개국 합의안을 마련하고 총회 승인을 기다리고 있으나 채택될지 불투명한 형편이다.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는 폐막일인 18일(현지시각) 당초 예상됐던 포괄적인 합의안을 마련하지 못했고 대신 5개국 합의안을 놓고 각국이 승인 여부를 논의 중이다.
5개국 합의안은 이들 국가가 온실가스 배출을 통제하려고 취한 구체적인 조치들과 앞으로 취할 약속들을 등록하도록 하고 이를 검증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고 미국 고위관리는 설명했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5개국 협상을 마친 뒤 각국은 "국제적 협의와 분석(international consultation and analysis)"을 받게 될 "구체적 약속"을 내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의미있고 전례 없는 약진을 했다"면서도 "구속력이 있는 협약을 체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다. 지금까지 온 길보다 가야 할 길이 더 많이 남았다"고 덧붙였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5개국 합의안에 대해 "중국을 포함한 (5개국 합의안을 도출한) 모든 국가가 내달까지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서면 제출하기로 했다"며 "이 합의안에는 개도국들에 2020년까지 연간 1천억달러를 지원하는 계획도 담겼다"고 밝혔다.
사르코지 대통령은 "5개국 합의안은 완벽하지 않다"면서도 "그러나 만일 아무런 합의도 없다는 것은 중국, 인도 같은 중요한 국가들이 어떤 형태의 협약에도 자유로울 수 있다는 의미다. 교토의정서 회원국이 아닌 미국 역시 자유롭다"며 이것이 이 합의안이 절대 필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브라질 대표도 "매우 실망스럽지만, 다시 만나 남은 문제를 논의한다면 실패는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나 5개국 합의안이 이번 총회에서 승인될지는 불투명해 보인다.
개도국들의 모임인 G77 의장인 수단의 루뭄바 다핑은 이 5개국 합의안에 대해 "사상 최악"이라고 평가, 거부 의사를 시사했다.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