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당론 변경여부를 놓고 제계파간 진흙탕 싸움을 거듭하던 한나라당이 20일 휴전분위기로 급반전됐다. 당내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계가 분당은 공멸이라는 의견일치를 이루며 감정싸움을 자제하면서다.
특히 세종시 수정 당위성을 설파하며 친박에 대한 대대적 공세를 준비하던 친이계 모임 ‘함께 내일로’는 당초 이날로 잡혔던 전체회의를 연기하며 숨고르기에 들어간 상태다. 친박계도 세종시 문제를 직접 거론치 않았다.
이날 열린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는 세종시 당론 변경이란 최대 화두를 놓고 친이∙친박간 갈등이 고조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조용히 지나갔다.
정몽준 대표는 “원안과 정부안 중 어떤 게 당내 공감대가 큰지 민주적 방식과 정해진 절차에 따라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고, 친이계 안상수 원내대표도 “원안과 수정안의 타당성에 대해 치열한 토론을 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류측이 당론 변경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셈이다.
그러나 친박계는 당론 변경 여부에 대해 함구했다. 박근혜 전 대표가 ‘원안고수’ 입장을 분명히 밝힌 상태에서 더 이상 소모적인 감정싸움을 벌일 필요가 없다는 게 친박측의 판단이다. 이 때문에 자연스레 당내에서는 ‘휴전론’이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싸울 때 싸우더라도 정부안이 제출되면 당론 결정과정에 참여해 토론하자는 것.
친이계 이윤성 국회부의장은 “현재 당론을 어떻게 하고, 변경하지 못하겠다는 얘기는 어불성설”이라며 “정부안이 제출되면 자연스럽게 절차를 밟되 그동안은 참자”고 제계파에 휴전을 제안했다.
친박계 송광호 최고위원도 홍준표 의원의 ‘분당’ 발언을 문제 삼으면서 “대권 경선에 나왔던 분이 그렇게 말을 해서는 안된다. 조심해달라”며 내부갈등 봉합을 주문했다.
실제 한나라당은 이날 서울과 경남에서 동시에 치러진 국정보고대회에서 행정부처 인사를 초빙해 수정안에 대한 특강을 하는 등의 직접적인 홍보를 자제했다. 당내 갈등 상황을 악화시키지 않기 위해서다.
그럼에도 여전히 양대 계파는 당론 변경문제에 대해 친이계는 정부안 지지를, 친박계는 원안 취지를 유지한 채 일부 수정을 각각 주장하고 있어 현격한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당론 채택과정에서 또 한차례 전면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