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청소년기 잘못된 비만 인식, 치명적 식사장애 유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03-08 09:3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식사장애 고위험군의 유병률
우리나라 청소년 10명 중 1명 이상에서 식사장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장애란 자신이 살이 쪘다는 스트레스로 인해 식사 후 죄책감이나 구토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며, 음식에 집착하거나 폭식하는 증상으로 건강에 해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윤여표)이 2009년 2월부터 12월까지 전국 16개 시도 중·고등학생 7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성장기 영양불균형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식사장애가 우려되는 학생이 남자는368명(10.5%), 여자는 518명(14.8%)로 나타났다.

체중별로는 저체중의 경우 식사장애가 우려되는 학생이 16.6%였으며, 정상체중은 11.9%, 비만체중은 15.5%로 저체중이나 비만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비율로 보였다.

조사대상 7000명 중 저체중은 307명(4.4%)이었으며, 정상체중은 5826명(83.2%), 비만은 867명(12.4%) 이었다.

식사장애 우려가 있는 학생들 대부분은 스스로가 비만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남학생의 경우 63.6%, 여학생의 경우 88.6%가 체중감량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장애가 우려되는 학생은 정상학생에 비하여 식사습관에 문제점이 발견되었으며, 비정상적인 다이어트 방법을 많이 시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표적인 고열량·저영양 식품인 패스트푸드, 탄산음료, 라면, 과자 등의 섭취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가족과 같이 식사하는 시간이 적었고, 정상적인 성장발달에 도움이 되는 아침식사를 거르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청소년기 성장을 방해하는 단식, 식사량 줄임, 식후 구토, 원푸드 다이어트 등 무리한 체중감량법을 시도하는 경향이 정상학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았다.

식약청은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 제일 중요한 것은 균형 있는 영양섭취와 규칙적인 운동"이라며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비만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생긴 식사장애 환자군의 선별 및 교정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헬스코리아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