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산, 경남지역의 일조시간은 2월의 경우 평년에 비해 70~8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햇빛을 볼 수 없는 기간이 7일간 연속되거나 하루 일조시간이 2시간 미만인 기간이 10일 이상 지속된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부산, 창원, 진주 등 남부지역 시설원예단지를 중심으로 수박, 멜론, 참외 토마토, 딸기 작물의 피해양상을 진단해 이같이 밝혔다.
일조부족에 의한 작물의 피해증상으로는 수박, 멜론, 참외 등 박과작물의 경우 열매가 잘 열리지 않고 열려도 과실 커짐이 좋지 않아 고품질의 상품 생산이 어려운 것으로 관찰됐다.
특히, 2월중순~3월초에 수정되는 수박은 착과율이 40~50%로 저조했으며 일부 농가는 열매가 착과가 되지 않아 덩굴을 뽑아버리고 새로 심은 것으로 조사됐다.
비닐하우스 안은 습도가 낮고 기온이 낮아 덩굴마름병, 잿빛곰팡이병이 많이 발생했고 그 정도가 심각한 곳은 잎이 마르면서 작물이 죽어버리기도 했다.
토마토는 잎이 얇고 줄기가 가늘어지며 개화돼도 꽃이 떨어지거나 수정된 과실이 떨어지는 증상이 많았다. 잎과 과실에 곰팡이병 발생도 심한 것으로 밝혀졌다.
농진청은 이같이 시설원예작물의 일조부족 피해가 심각해짐에 따라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마련해 발표했다.
이날 발표한 방안은 △낮에 천창과 측창을 이용해 철저한 환기 △토양수분 함량을 다소 낮게 관리 △병에 감염된 잎이나 과실의 빠른 제거 △착과율을 높이기 위해 인공수분과 착과제를 동시 사용 △관수시 미생물제, 근활력 촉진제 등 첨가 △수경재배 작물은 양액농도를 높이고 공급량을 줄이기 △오랫동안 햇빛이 없다가 강한 햇빛이 쬐일 경우 작물이 시들 우려가 있으므로 적절한 차광을 해주기 등이다.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uses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